상세정보
쇳물처럼

쇳물처럼

저자
정화진
출판사
북토피아
출판일
2004-01-30
등록일
2004-01-30
파일포맷
PDF
파일크기
90 Bytes
공급사
북토피아
지원기기
PC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5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정화진(본명 황의돈)은 1960년 경기도 파주에서 교사인 아버지 황남주와 어머니 서채봉의 2남 2녀 중 둘째로 태어났다. 서울에서 신용산국민학교와 숭실중학교, 동성고등학교를 거쳐 1980년 서강대학교 영문학과에 입학했으며, 이때의 야학 활동으로 세계관의 변화를 맞게 되고 이것은 이후에 그가 노동운동에 뛰어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1987년 학교를 졸업하고 단편 「쇳물처럼」(『민족문학의 현단계』)을 발표하면서 작품활동을 시작했는데, 이즈음 그는 인천에서 노동자(선반공)로 일하고 있었다. 정화진은 이 시기, 1980년대 말의 고조된 사회적 분위기(노동자 대투쟁) 속에서 배출된 의미 있는 노동작가이다. 데뷔작인 「쇳물처럼」은 작자 자신의 노동 체험에 힘입어, 보너스 한푼 없는 인천 바닥의 한 주물공장을 배경으로 벌어지는 파업의 과정과 이에 이르기까지의 세세한 감정의 결을 마치 사실적인 영상으로 재구성한 한 편의 드라마처럼 보여주고 있다.




이후에도 그는 1989년에 「우리의 사랑은 들꽃처럼」(『노동문학』), 「규찰을 서며」(『민족문학의 현단계』)를 발표하고, 1991년에는 장편소설『철강지대』를 출간하였으며, 1992년에는 창작집『우리의 사랑은 들꽃처럼』을 출간했다.




정화진의 소설은 1987년 노동자 대투쟁의 고조된 분위기와 맞물려 등단과 함께 평론가들로부터 각별한 주목의 대상이 되었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동구권 몰락의 여파는 민중문학권의 쇠퇴를 가져왔고, 정화진 자신도 대기업으로 생활의 터전을 옮긴 뒤 이렇다 할 작품을 생산하지 못하면서 독자 대중들로부터 잊혀져 갔다.




그러나 그의 진보적 열정은 냉담한 현실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아직도 노동소설의 필요성은 현실적으로 입증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은 진보주의자로 선뜻 자처할 수 없는 일반적인 소시민 독자에게도 글읽기에의 참여를 종용하면서 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충분히 해내고 있다.

함께 대출한 도서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