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기업과 경제
한국에 있어서 중국경제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에서 국내의 교육ㆍ연구 수요의 폭증에도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자료는 불충분하다. 본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충하여 중국경제에 대한 우리의 시각과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적인 주제를 들어 여러 유형의 기업들이 중국경제의 체제이행과정에서 수행해 온 역활과 현재 경험하고 있는 변화이고, 중국의 발전 모델에 관한것으로 모택동 시대의 중국의 발전모델과 개혁ㆍ개방 이후 시기의 발전모델의 비교, 구소련과 대비한 중국식 경제개혁모델의 우수성과 성공요인, 그리고 향후 중국경제의 발전모델에 관한 전망을 다루고 있다.
서문
제 1 부 중국개혁의 비교분석과 개괄
제1장 모택동과 등소평 시기 경제발전의 비교분석
1. 서 론
2. 경제발전의 추세 및 기본 내용
3. 산업구조의 변화
4. 축적 메커니즘의 변화
5. 개혁ㆍ개방 시기의 성장의 엔진
6. 결론과 전망
제2장 왜 구소련은 실패했고 중국은 성공하였는가?
1. 서론
2. 경제성장의 지표 비교와 분석시각
3. 새로운 경제주체의 창출
4. 국유기업개혁을 위한 노력
5. 새로운 경제환경의 출현
6. 새 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
7. 결론
제3장 중국은 동아시아 발전모델을 건너뛰는가?
1. 서론
2. 기업지배구조
3. 은행 ─ 기업 관계와 금융
4. 노동시장의 유연성
5. 생산물시장의 경쟁도
6. 산업정책과 정부 ─ 기업 관계
7. 결론
제 2 부 국유기업의 개혁과 기업집단의 출현
제4장 국유기업개혁의 이론적 개괄
1. 서론
2. 사회주의 기업 개혁에서 내부자통제와 국유자산
3. 인센티브제 개혁단계의 내부자 ─ 외부자 담합과 국유자산 유실
4. 소유제개혁 및 주식제 단계의 내부자통제와 국유자산 유실
5. 결론
제5장 주식회사의 등장과 중국식 법인사회주의론
1. 서론
2. 1990년대 중반 중국 국유기업 성과침체의 원인 및 배경
3. 공사화와 법인사회주의를 통한 해결 시도
4. 결론
제6장 시장경쟁과 기업집단
1. 서론
2. 기업집단과 지주회사의 등장배경과 발전과정
3. 중국 기업집단의 특성
4. 기업집단과 지주회사화의 유형론
5. 집단화와 지주회사화의 원인: 시장경쟁의 격화
6. 시장경쟁과 기업집단화에 관련된 제양상
7. 결론과 시사점
제7장 기업지배구조와 기업-은행 관계
1. 서론
2. 시장중심과 주거래은행중심의 기업지배구조
3. 중국 상장기업의 지배구조
4. 시장중심체제로의 이행가능성 검토
5. 요약과 결론
제 3 부 비국유 및 외자 기업
제8장 개혁 초기 비국유기업 발전을 보는 시각
1. 서론
2. 1980년대 중국의 비국유부문을 보는 시각
3. 농촌지역의 비국유부문
4. 도시의 비국유부문
5. 새로운 경제환경의 출현과 국유 및 비국유 부문간의 상호작용
6. 결론
제9장 향진기업의 성장과 기업지배구조
1. 서론
2. 향진기업 성장과 소유권 논쟁
3. 경제주체로서의 향진정부
4. 향진집체기업의 지배구조
5. 향진기업 성장의 환경적 요인
6. 향진기업 성장의 제약요인
7. 새 기업지배구조의 모색
8. 결론
제10장 외국인 투자기업의 비교연구
1. 서론
2. 한국기업의 대 중국투자의 새로운 전개
3. 외국계 중국내 외자기업
4. 한국계 중국내 외자기업
5. 한국계 중국내 외자기업 설문조사 결과
6. 종합과 정책시사
제 4 부 재정ㆍ금융ㆍ노동 및 도시화
제11장 재정 및 금융체제 개혁
1. 서론
2. 재정부문의 변화
3. 정부지출의 변화
4. 화폐금융체제의 개혁
5. 재정금융체계의 문제점과 전망
제12장 인구, 노동시장 및 도시화
1. 서론
2. 노동력 및 그 이용
3. 노동계획 및 배분정책
4. 도농이동과 도시화
5. 결론
제 5 부 지방 및 대외경제 관계
제13장 산동성내 낙후지구와 발달지구 기업과 경제의 비교
1. 서론
2. 비교대상지역의 기본 경제조건
3. 비교대상지역의 기업활동 비교분석
4. 발달지구와 낙후지구 경제의 종합적 비교: 입지, 정책 및 시장요인의 상호작용
제14장 환황해경제권과 한ㆍ중ㆍ일의 경제통합
1. 환황해경제권과 한ㆍ중ㆍ일
2. 한국과 중국의 경제교류
3. 일본의 큐슈 ─ 야마구찌 지역의 대한국 및 대중국 경제교류
4. 문제와 전망
제15장 중국경제의 장기전망과 한반도 통일
1. 서론
2. 중국경제의 장기전망과 동북아 경제
3. 중국 부상의 국제정치적 의미와 한반도 통일
참고문헌
저자후기 : 나의 중국연구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