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의 제사상
인류가 인간욕구충족을 위한 인간이성의 이기적 도구화를 앞으로도 계속한다면, 21세기 또한 정보만 남고 진리는 사라져버리는 학문, 환경 종말과 자본주의의 위기는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자연을 파괴하는 문명에서는 결코 진정한 인간의 자유도 생명도 기대할 수 없다. 이책은 특히 지난 한국의 근대화과정에서 우리 사회를 위협한 가장 큰 위기 증후군이 환경문제라고 보고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모색이 담겨져 있다.
본서의 제Ⅰ편에서는 환경문제의 이해를 다루고 있다. 환경문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변천과 환경문제의 본질, 그 접근방법을 살펴보면서 실제 문제시되고 있는 환경문제의 유형(물, 대기, 폐기물)을 고찰하며 각 매체별 정책방향을 검토하였다.
제Ⅱ편에서는 자연과 인간, 즉 문명사적 입장에서 인간이 자연에 대해 어떠한 태도로써 자연환경을 인식하고 마주해 왔는지를 시대사별로 자연관을 살펴보고, 산업문명의 한계와 위기, 이의 극복을 위한 새로운 대안문명으로서 이념적ㆍ사회적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제Ⅲ편에서는 동서양의 사상에 내재해 있는 생명사상을 다루었다. 환경문제와 기독교사상, 노장사상, 불교사상, 유가사상을 먼저 고찰하고, 끝으로 이들 사상과 연계하여 동서양의 생명사상과 우리나라의 환경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살펴보았다.
제Ⅰ편 환경문제의 이해
제 1 장┃환경문제에 대한 인식
제1절 산업혁명 이전
제2절 산업혁명 이후
제3절 맺는 말
제 2 장┃환경문제의 본질
제1절 환경문제의 인과구조
1. 생 태 계
2. 환경문제의 구조적 인과성
제2절 환경문제의 특성
제 3장┃환경문제에 대한 제 접근
1. 역사 ─ 철학적 접근
2. 제도적 접근
3. 경제적 접근
4. 과학기술적 접근
5. 국제적 접근
참 고 문 헌
제 4장┃환경문제의 유형
제1절 대기와 환경
1. 대 기
2. 대기오염이란?
3. 대기오염의 복합적인 제 현상
4. 우리나라 대기보전 정책방향
제2절 물과 환경
1. 물의 성질
2. 물의 순환
3. 담수의 오염
4. 우리나라 물관리정책 방향
제3절 폐기물과 환경
1. 현대사회와 폐기물문제
2. 우리나라의 폐기물 관리현황
3. 우리나라의 폐기물관리정책
4. 우리나라 폐기물관리정책의 과제
참 고 문 헌
제Ⅱ편 자연과 인간:문명의 전환
제 1 장┃문명사적 입장에서 본 자연관
1. 그리스ㆍ로마의 자연관
2. 중세의 자연관
3. 근대의 자연관
제 2장┃산업문명의 한계와 위기
1. 도구적 이성 중심에 입각한 과학기술주의ㆍ인간중심주의 세계관
2. 무한성장추구와 욕구경쟁주의
3. 자유개인주의적 사고
제 3장┃문명의 전환:생태문명을 향하여
1. 공생을 위한 유기체적 생태중심주의
2. 욕구경쟁적 무한성장지배철학에 대한 반성
3. 자유개인주의에 대한 성찰
4. 맺는 말
참 고 문 헌
제Ⅲ편 동서양의 사상에 내재해 있는 생명사상
제 1장┃환경문제와 기독교사상
1. 환경문제에 대한 기독교의 자연관
2. 맺는 말
참 고 문 헌
제 2장┃환경문제와 노장사상
1. 노장의 자연관
2. 환경문제에 대한 노장의 자연관
3. 맺는 말
참 고 문 헌
제 3장┃환경문제와 불교사상
1. 불교의 우주ㆍ자연관(물질관)
2. 불교의 주요 사상
3. 불교사상적 세계관에서 본 생태관
4. 맺는 말
참 고 문 헌
제 4장┃환경문제와 유가사상
1. 유가사상에 나타난 생태윤리
2. 환경문제에 있어서 유가사상의 가치적 함의
3. 맺는 말
참 고 문 헌
제 5장┃동서양의 생명사상과 환경정책
1. 생명사상
2. 우리나라 환경정책의 비전과 전략
3. 맺는 말
참 고 문 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