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 경제 도약을 위한 기업 지배 구조 개혁 - 산업연구원 21세기 준비총서 17
우리 경제가 21세기에 선진 경제로 도약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기업 지배 구조의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해 기업 지배 구조를 어떻게 개혁하고 설계하여 운용할 것인가를 논의한 책.
기업 지배 구조의 이론적ㆍ제도적 측면, 재벌 조직에서의 기업 지배 구조, 한국적 기업 지배 구조 문제의 본질, 그리고 디지털ㆍ지식 기반 경제로의 이행에 따른 기업 지배 구조 문제 등을 심도있게 논의하고 바람직한 기업 지배 구조 개혁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서론
제1부 기업 지배 구조의 이론적ㆍ제도적 고찰
제1장 기업 지배 구조의 본질과 중요성
1. 주인-대리인 문제
2. 대리인 비용
3. 기업 지배 구조의 중요성
제2장 기업 지배구조: 주인-대리인 문제의 해결 방안
1. 기업의 내부 지배 구조
2. 기업의 외부 지배 구조
3. 기타 여러 제도와 계약
제3장 세계 각국의 소유 지배 구조의 비교
1. 영국ㆍ미국 모형 대 일본ㆍ유럽 모형
2. 한국 기업의 지배 구조
3. 기업 지배 구조의 수렴 현상과 OECD의 기업지배 구조 가이드라인
제4장 기업 지배 구조와 기업 가치에 대한 학술적 연구 결과
1. 기업의 소유 구조
2. 이사회 기능
3. 경영자 보상 체계
제2부 재벌 조직에 있어서의 기업 지배 구조
제1장 그룹형 기업 조직의 이해
1. 재벌 개혁과 기업 구조 조정
2. 그룹 조직의 의의
3. 그룹 조직의 효용과 한계
4. 구조 개혁의 방향
제2장 그룹 체제하에서의 지배 구조 논의
1. 이론적 배경
2. 경영자 지배론의 검증
3. 대리인 문제의 확장
4. 감시 체제의 성격
제3장 재벌 조직과 기업 지배 구조
1. 한국 재벌 조직의 특징
2. 지배 주주 통제의 타당성
3. 채권자 개입의 명분
4. 상호 출자 메커니즘의 향방
제3부 기업 지배 구조 개혁의 방향
제1장 한국적 기업 지배 구조 문제의 본질과 개혁의 목표
1. 한국적 기업 지배 구조 문제의 본질
2. 기업 지배 구조 개혁의 목표
제2장 기업 지배 구조 개혁의 방향
1. 채권자의 경영 감시 기능 강화
2. 가관투자가의 역할 증대
3. 내부 지배 구조의 효율성 제고
4. 기업 지배권 시장의 육성
5. 소액 주주권의 보호 및 강화
제3장 기업 조직의 진화와 기업 지배 구조
1. 디지털ㆍ지식 기반 경제로의 이행과 기업 지배 구조
2. 기업ㆍ재벌 조직의 변화와 기업 지배 구조
3. 지주 회사와 기업 지배 구조
참고 문헌
발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