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 : 새 세상을 꿈꾸는 민중들의 예언서 - e시대의 절대사상 016
저자는, 전근대적인 낡은 미신에 불과하다는 부정적 평가에 맞서, <정감록>은 조선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였던 성리학에 도전하기 위해 민중들이 만든 대항이데올로기의 하나라고 평가한다. 다시 말해 <정감록>은 개인의 사상체계를 보여주는 저서가 아니라 조선시대의 수많은 백성들이 공유하고 함께 만들어낸 민중사상을 집약한 책이라는 것이다.
1부에서는 <정감록>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과연 어떤 구절이 그토록 민중들의 관심을 끌어왔는지 살펴본다. 2부에는 수많은 <정감록> 이본들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들 중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을 풍수지리 사상, 천운순환 사상, 천문 사상, 말세 사상, 비결 사상, 진인 사상, 음양오행 사상, 승지 사상 등으로 나눠 발췌한 내용을 담았다.
e시대의 절대사상을 펴내며
들어가는 글
1부 시대.작가.사상
1장 살아 숨쉬는 <정감록>
<정감록>과의 첫 만남
정치적 홍보 수단으로 이용된 <정감록>
<정감록>은 어떤 책인가?
<정감록>을 읽는 방법
진인은 왜 정씨인가?
2장 비결의 역사와 <정감록>의 등장
조선 건국에 이용된 비결
유언비어의 유포와 금서가 된 비결서들
정여립 사건과 정씨 왕조 출현설
장길산과 <정감록>
영조 시기의 비결
<정감록>의 등장
정조와 <정감록>
반란의 확산과 <정감록>
근대 이후의 <정감록>
3장 <정감록>에 대한 비판
현세도피적, 현실부정적 예언서
4장 <정감록>의 사상사적 의의
새로운 세상을 향한 동경
2부 본문
풍수지리(風水地理) 사상
천우순환(天運循環) 사상
천문(天文) 사상
말세(末世) 사상
비결(秘訣) 사상
진인(眞人) 사상
음양오행(陰陽五行) 사상
승지(勝地) 사상
3부 관련서
관련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