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들의 중국사
정사에 가려진 중국 황제들의 진면목과 그 이면을 파헤친 책. 카리스마 넘치는 진시황의 모습, 제갈량을 얻기 위해 세 번이나 초가를 찾아가는 유비, 당나라 전성기의 하나인 ‘정관의 치’를 구가한 당 태종 이세민, 양귀비를 반란군에게 내주고 눈물을 흘린 당 현종 이융기 등 사실로 알려진 황제들의 이야기들이 사실은 정사에서 꾸며진 이미지임을 역사적 증거를 들어 하나하나 밝혀낸다.
- 서문 : 통찰력이 필요한 역사 읽기
진시황, 평생 남에게 통제당하며 살았던 대황제
투기꾼의 투기 상품이었던 출생의 비밀 / 여불위의 통제를 받으며 살다 / 축객령 의 역사적 배경 / 다시 이사의 그늘에서 살다 /
무고하게 살해된 한비자 사건의 본질 / 누가 분서 명령을 내렸나? / 몸은 죽고 나라는 망하다
유방과 항우, 성공과 실패로 영웅을 논하지 말라
사마천은 성공과 실패로 영웅을 논단하지 않았다 / 항우는 싸우고, 유방은 열매를 따다 / 내게도 국 한 그릇 나눠주라 /
천기를 누설한 두 사람의 대화
조조, 후세에 재앙을 남긴 간웅
재앙이 후세에 미쳤다 의 두 가지 의미 / 조조는 어떻게 자손에게 화를 미쳤나? / 조조는 어떻게 천하 후세에 재앙을 남겼는가? /
후대 야심가들의 모범이 되다 / 제갈량의 선택은 옳았다
유비, 삼고초려는 없었다
집도 절도 없이 동분서주했던 유비 / 천하의 기재, 어떻게 탄생했나? / 삼고초려 는 진실인가, 거짓인가? / 제갈량의 고뇌
아두, 아둔함 속에 숨긴 지혜
정말 구제불능인 유황숙 / 아두 는 가능성이 있었다 / 아두는 자기 자신을 잘 알았다 / 아두는 합리적인 군주였다 /
이렇게 즐거운데 촉 생각은 왜 하는가
수 양제 양광, 속 좁고 변덕스런 혼세마왕
시 한 수 때문에 화를 당한 설도형 / 아주 편하게 천하를 얻은 양견 / 양광의 180도 대회전 / 남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다
당 태종 이세민, 세상을 속여 명예를 도적질한 성군
충고를 잘 받아들인 이세민의 속사정 / 납간 의 진상 / 사형수를 풀어준 미담의 진상 / 비열한 수단으로 난정서 를 빼앗다 /
현무문 정변 의 후유증
무측천, 소인배를 잘 다룬 대담한 여황제
소인은 나라를 그르친다 / 밀고를 장려하고 죄를 날조하다 / 소인이 소인을 잡아들이다 / 소인을 다루는 무측천의 솜씨
당 현종 이융기, 양귀비를 죽인 냉혹한 카사노바
개원 연간의 유능했던 군주 / 성군에서 혼군으로 / 이융기가 자초한 안사의 난 / 장한가 는 백거이의 실패작이다 /
깊숙한 규방에서 자라 아무도 몰랐네? / 임금은 얼굴 가린 채 구해주지 못하였고 라니?
후량 태조 주온, 황제가 된 살인마
중국 대륙을 휩쓴 군대 전염병 / 살인을 놀이처럼 즐기다 / 그보다 더 나쁠 수 없다
남당 이후주, 황제 노릇보다 문학에 더 심취했던 이단아
가련하고 박명한 군왕 / 왜 망국 군주가 되었을까? / 시인이었던 황제 / 실패자가 아니다
송 태조 조광윤, 갈등과 모순을 해소한 위대한 정치가
행운으로 얻은 천하, 노력하여 모순을 해결하다 / 배주석병권 의 윈-윈 효과 / 안정과 조화를 추구한 큰 정치가
명 태조 주원장, 평민 황제의 본색
적은 공격하지 않고 우군만 때리다 / 평민 황제인가, 부랑아 황제인가? / 맹자를 죽이려 하다? /
죽는 날까지 쉼 없이 사람을 죽이다 / 주원장에 대한 민간의 평가
숭정제, 세계의 흐름을 앞서 내다본 청년 황제
세상을 바로 본 최초의 동방 황제 / 새로운 정치를 실행하려 한 청년 황제 / 어째서 망국 군주가 되었나? /
나라를 잘못 다스린 죄를 고백하다
옹정제, 독창적인 문자옥을 자행한 얼뜨기
정신 학대법의 창안 / 모든 관원에게 비난하는 시를 쓰게 하다 / 대의각미록 의 왜곡
- 황제가 대체 뭐하는 물건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