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인홀드 니버 - 현대 신학자 평전 9
- 머리말
1. 니버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출생부터 신학교 시절까지(1892-1914)|디트로이트에서의 목회와 사회활동(1915-28)|
신학교 교수생활(1928-45)과 기독교 현실주의의 형성|
냉전체제 하에서의 활동과 종교적 다원주의(1945- 60)|병마와 싸워야 했던 말년
2. 종교관
인격성의 상실과 집단의 비윤리성|전통적인 종교들의 문제점|
초월적 인격성과 사회적 지성을 갖춘 종교
3. 인간론
이성과 자연을 절대시한 현대인|니버가 이해한 기독교적 인간관|
일반계시의 관점에서 본 인간과 특별계시의 관점에서 본 인간|
하나님의 형상은 자기초월의 능력|죽음을 포함한 유한성은 악이 아니다|
불안에서 비롯되는 교만과 관능성|원죄
4. 역사관
자연주의, 합리주의, 메시아주의 역사관의 한계|그리스도는 역사의 의미|
은혜와 책임|복음의 역설적 긴장의 왜곡 I: 낙관적 완전주의|
복음의 역설적 긴장의 왜곡 II: 죄의 현실을 강조한 비관주의|
복음의 역설적 긴장의 왜곡의 예 I: 진리와 관용|
복음의 역설적 긴장의 왜곡의 예 II: 정의의 원리와 구조|역사의 종국
5. 윤리학
기독교 윤리의 종교적 근거로서의 창조주 신화|예수의 윤리: 사랑절대주의|
예수 윤리의 역설적인 두 차원 I 현실주의|예수 윤리의 역설적인 두 차원 I
윤리적 이상|사랑의 법과 기독교 정통주의: 체제 옹호적 사회 윤리|
사랑의 법과 자유주의적 기독교: 유토피아적 사회 윤리|
개인적 실천의 원리로서의 사랑의 이상|사랑과 율법
6. 집단의 도덕
사회적 갈등의 해결과 사회통합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합리주의 윤리는 사회 갈등의 해결과 정의 실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
종교는 사회 갈등과 정의 실현에 어느 정도 기여하는가?|국가간의 도덕|
계급간의 도덕과 국가이기주의|개인의 도덕과 집단의 도덕
7. 정치관
8. 경제관
9. 인종차별
10. 평화주의
11. 교회 윤리
예전을 중시하는 교회|사회적 지성을 갖춘 교회|칼 바르트의 종교적 초월주의 비판|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교회의 일치
- 맺음말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