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수학 이야기 [2]
이 저서는 《나의 수학 이야기 [1]》의 연속편이다. 저자는 지난 40 여 년 동안의 수학 연구의 삶을 회상하면서 재미있는 수학 이야기를 펼쳐 나간다. 이 책에서는 20세기 초반에수학의메카였던 괴팅겐대학의 학파가1930년대의 나치정권의 사악한 정책에 의해 붕괴되어가는과정을회상하여 본다.저명한 중국 수론학자 화라경과 미분 기하학자 진성신 사이의 불화와 반목을 야우의 저서 《The Shape of a Life》를 통해 저자의 관점에서 피력한다. 2004년에 일본작가 오가와 요코의 저서 《박사가 사랑한 수식(번역판)》을 읽고 감명을 받았다. 그리고 이와 동명의 일본 영화도 보았다. 내가 관람한 수학과 수학자를 다룬 영화들의 몇 편을 소개하며 나의 의견을 피력한다. 싱가포르 국립대학의 수학연구소의 초청으로 싱가포르를 방문해 학술적인 연구를 했던 저자의 인상적인 방문기를 소개한다. 『소수의 분포, 신비성과 아름다움』에서 소수정리, 흥미로운 골드바흐 추측과 리만가설에 관해 설명하고, 이와 연관된 여러 문제들을 소개한다. 리만 제타함수의 영점을 구하는데 유익하게 사용되는 리만-지겔 공식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골드바흐 추측을 완전히 풀지 못했지만 이와 유사한 『첸의 정리』를 발견한 중국 수학자 첸징룬의 삶을 돌이켜본다. 저자의 수학 연구에 큰 영향을 끼쳤던 앙드레 베유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그의 여동생 시몬 베유의 기구한 삶과 함께 풀어나간다. 저자가 서울대학 공과대학에 입학하여 컴퓨터 공학자의 꿈을 버리고 순수 수학을 연구하는 수학자가 된 연유를 과거를 회상하며 술회한다. 끝으로 저자의 아름다운 어린 시절의 추억을 회상하고 지난 30년 세월 조직위원장으로서 개최한 수준 높은 국제학술회의들을 소개한다.
차례
들어가는 말
7. 괴팅겐 학파의 성쇠
8. 화라경(華羅庚)과 진성신(陳省身)
9. 수학과 창조성
10. 수학과 수학자를 다룬 영화
11. 싱가포르 방문기
12. 소수의 분포, 신비성과 아름다움
13. 불굴의 수학자 첸징룬 (陳景潤: 진경윤)
14. 앙드레 베유와 시몬 베유
15. 나는 어떻게 수학자가 되었는가?
끝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