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복잡반응과정
미리보기

복잡계의 새로운 접근 : 복잡반응과정

저자
랄프 D. 스테이시 저/이민철 역
출판사
씨아이알(CIR)
출판일
2022-06-14
등록일
2022-07-21
파일포맷
PDF
파일크기
12MB
공급사
YES24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1
  • 예약 1

책소개

세계는 지금 지식이 주도하는 새로운 시대인 정보사회로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 패턴은 새로운 형태의 조직과 조직 관리 방식을 요구하고 있으며 교육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교육은 변화의 중심에 있으며, 기존의 틀로는 설명하지 못하는 영역이 계속 드러나면서 새로운 시각으로 교육을 봐야한다는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복잡계 이론은 이에 대한 하나의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서론과 2장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지식의 창조와 학습에 관한 내용을 배치하여 복잡계 이론에 대한 초보 독자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3장에서는 여러 문헌과 복잡성 과학에서 개인과 사회의 관계를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를 설명하고 있으며, 4장에서는 조직이나 집단이 별개의 실체가 아니라 개개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만들어가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5장에서는 저자의 개인적인 회고와 사례연구를 통해 의사소통 과정이 상징을 활용하여 활성화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6장에서는 언어의 규칙과 이 규칙들이 어떻게 조직 안에서 의사소통을 구조화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이어서 이러한 개념들을 7장에서도 다루면서 논의를 권력 관계의 맥락 안으로 끌어온다. 8장은 이 책 2부의 결론 부분으로 사람과 아이디어, 이데올로기 등이 조직 안에서 어떻게 군집을 이루는지를 설명하면서 학습을 향상시킬 전략을 개발할 수 있음을 밝히고 있다. 9장에서는 이 책의 전반적인 논의를 요약하고 있으며 10장은 저자의 아이디어를 경영과학의 실천과 교육 환경에 도입할 방법을 찾는 관리자를 위한 설계로 채우고 있다.

이 책은 인간과 사회를 다양한 측면에서 원론적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조직의 학습과 지식의 창출에 관한 시스템 사고로부터 벗어나 지식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복잡반응과정에서 나오며 지식 자체가 끊임없이 반복되면서 잠재적으로 변형된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주류 복잡계 이론인 시스템 사고에서부터 복잡적응계 이론, 정신분석, 구성주의, 비판적 실재론, 제도주의, 진화심리학, 뇌 과학 등 실로 다양한 영역을 분석하여 과학적 사고와 철학적 사고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면서 복잡반응과정의 관점이 갖는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출판사동일
저자동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