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를 사랑해서 나를 혐오하고
“나를 닮은 것들은 나를 닮아 슬프다”
세계와 나의 충돌에서 발생하는 격렬한 내분
후회하는 시, 고백하는 시, 대답할 수 없어 쓰는 시
김수영문학상, 대산문학상, 천상병시문학상 수상 시인 서효인 신작 시집
[문학동네시인선 171번] 시집으로 서효인 시인의 네번째 시집을 펴낸다. 우리가 살아가는 장소들을 경유하는 시간에 대해 쓴 시편들의 모음 『여수』로 대산문학상과 천상병시문학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신뢰할 수 있는 언어를 가진 시인으로서의 면모를 입증한 이후 5년 만에 발표하는 신작 시집이다. 첫 시집 『소년 파르티잔 행동 지침』에서 분노를 통해 도시의 들끓는 삶을 생생히 그려내고,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한 두번째 시집 『백 년 동안의 세계대전』에서 세계의 폭력을 구조적으로 형상화했다면, 『나는 나를 사랑해서 나를 혐오하고』에서는 세계와 충돌한 나의 내부에서 발생한 격렬한 내분을 거침없는 시적 언어로 담아냈다. “지껄이고 후회하고 고백하는 삶에 시가 끼어들어 자꾸 묻는”데 “대답할 수 없어 썼다”는 시인의 말은 그가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설득하고자 했던 치열한 난전의 시간을 짐작케 한다. 발문을 쓴 소설가 정용준의 말처럼 “고개를 돌리지 않고 응시하며 모든 분노를 자기 쪽으로 끌고 와 샤워하듯 끼얹은” 시편들. 차마 받아들일 수 없던 외부 세계를 향하던 분노를, 이제는 자신에게 향함으로써 시인은 한 발 더 깊이 나아간다. 동시에 그는 쉽사리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각자의 자기 자신을 안고 살아가는 우리 모두를 향해 한 발 더 가까이 다가온다. 그가 내밀한 진심을 담아 써내려간 50편의 시를 통해 우리는 우리가 슬프게도 서로 조금은 닮았다는 사실, 그리고 또한 그게 아주 슬픈 일만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시인, 출판 편집자 그리고 가요 애호가. '안온북스'대표. 시를 짓고 글을 쓰고 책을 꿰며 산다. 그 사이사이에 노래를 듣는다. 1981년 목포에서 태어났다. 2006년 [시인세계]로 등단했다. 시집으로 『소년 파르티잔 행동 지침』 『백 년 동안의 세계대전』 『여수』, 산문집으로 『이게 다 야구 때문이다』 『잘 왔어 우리 딸』 『아무튼, 인기가요』 『읽을 것들은 이토록 쌓여가고』(공저)가 있다. 김수영문학상, 대산문학상, 천상병시문학상을 수상했다. ‘작란(作亂)’ 동인이다.
시인의 말</br></br><b>1부 나를 닮은 것들은 나를 닮아 슬프다</b></br>서른 몇번째 아이스크림/ 버건디/ 고등학교 동창들을 서울에서 만나면/ 김치 담그는 노인/ 7년 동안/ 휴가지에서의 아버지/ 수도권은 돌풍주의보/ 함박/ 마라/ 붕어찜/ 닭의 갈비/ 소의 살/ 걱정스러운 개소리/ 이물스러운 입맛/ 허벅지 위로/ 육교에서의 친구들/ 딸바보/ 두 번 자는 인간들/ 눈알에 지진/ 교육관/ 회사 언어/ 가족력/ 반으로/ 귀향 안 함</br></br><b>2부 질투는 로맨스 같은 구석이 있다</b></br>북클럽에서의 만남/ 종각에서의 대치/ 습지/ 명절의 질문/ 아빠들/ 부음 1/ 부음 2/ 부음 3/ 부음 4/ 다이 하드―길 위에서 1/ 졸음운전―길 위에서 2/ 추돌―길 위에서 3/ 코어 근육/ 개에게 묻는다/ 축사 듣기/ 인증/ 화/ 무등산 수박/ 그릇은 필요 없어/ 선배, 페이스북 좀 그만해요/ 로맨스/ 파고다/ 휴화산/ 파트장과 성가 부르기/ 드라마틱</br></br>발문| 이야기의 바깥으로 | 정용준(소설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