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중해의 전쟁과 갈등
본서는 지중해에서 고금을 통해 벌어진 전쟁과 갈등의 사례들 전쟁을 통해 일어난 문화적 접변 나아가 전쟁의 규모가 사회적으로 확대되게 된 원인에 대한 분석을 도모하고 있다. 제Ⅰ부에서는 전쟁의 원인에 대해 일반적으로 알려진 여러 가지 견해를 소개하고 제Ⅱ부에서는 고대 그리스의 서사시 및 역사 서술에서 전쟁의 발발과 그에 대한 사회적 반성이 어떻게 이루어져왔던가 그리고 중세 비잔티움 제국 시대를 거치면서 군사조직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확대되어가는가 하는 점을 살핀다. 제Ⅲ부에서는 고대 및 중세 초 골(Gaule)지역 언어의 혼효 현상을 통하여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여러 민족 및 문화의 접변 과정을 유추하였으며 제Ⅳ부에서는 현대의 중동사태를 다루었다.
표지
속표지
머리말
목차
CHAPTER 01. 전쟁의 사회적 역할
길라잡이
전쟁과 정복에 대한 인류학적 해석_류정아
CHAPTER 02. 고대 및 중세 지중해의 전쟁과 군사조직의 확대
고대 그리스 서사시와 유대인 성경에 보이는 정의·노동·전쟁의 사회적 역할: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을 중심으로_최자영
헤로도토스와 투카디데스에 보이는 오만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hybris)과 아테네의 패권주의_최자영
전쟁의 원인과 국제관계에 대한 투키디데스의 분석: 긍정적 인간성과 평화의 지향에서 보이는 현대적 의미_최자영
비잔티움 제국의 군사조직과 사회구조의 변화: 테마제도의 변천을 중심으로_최자영
CHAPTER 03. 전쟁·정복의 영향으로 본 사회언어학적 해석
골 어를 통해 본 토착문화의 이문화 융합 현상 분석연구_장니나
나르보네즈 골 서판 어휘에서 보이는 이언어 교류_장니나
골 어와 골 주변 언어 간 혼효 현상 연구: 고대 및 중세 초골 지역을 중심으로_장니나·최춘식·최자영
CHAPTER 04. 현대 아랍세계의 갈등과 전쟁
중동·이슬람사회의 분쟁_최재훈
리비아 내전: 아랍의 봄과 리비아 내전을 중심으로_최재훈
판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