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군주론
근대 정치학·정치철학·사회사상사의 고전
끝나지 않는 추문, 『군주론』을 들추다
“이 책은 ‘부당한 오해’와 더불어 마르지 않는 ‘경탄의 보고’가 될 것이다!”라고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말했듯, 『군주론』만큼 몇 세기 동안 논란이 된 책은 없었다. 그동안 마키아벨리와 『군주론』을 연구하는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나왔고, 그 과정에서 ‘마키아벨리즘’이라는 말이 만들어졌다. ‘마키아벨리주의’라는 말은 “정치나 일반적 행동에서 이중적 태도를 취한다”는 의미로 1569년에 영어 사전에 추가됐다. 고전들 가운데 저자의 진의가 『군주론』만큼 심하게 왜곡된 것도 없을 것이다. 서양 근대철학을 전공한 이정은 교수는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의 이면에 숨겨놓은 진취적이고 재기발랄한 착상을 발견하는 기쁨을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한다. 특히 『군주론』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편견을 거둬내고 새롭게 접근하자고 제안한다.
근대 정치학, 정치철학, 사회사상사의 고전인 『군주론』의 저자로서 마키아벨리는 한편으로는 르네상스 문학을 대표하는 저술가였다. 그는 작품마다 새로운 발상, 새로운 지평, 새로운 입법, 새로운 문체, 새로운 풍자와 조롱을 창출한 만능 재주꾼이다. 그는 서로 다른 장르에서 겨우 한 작품씩만 산출했는데, 거의 모든 장르에서 ‘최고의 위치’에 서거나 후대인에게 깊은 족적을 남겼다. 저자 이정은 교수는 이러한 면모를 살피면서, 그의 진지함과 해학, 그의 속내를 들여다보자고 한다.
마키아벨리가 태어난 15세기는 나폴리 왕국, 밀라노 공국, 베네치아 공화국, 피렌체 공화국, 로마 교황청이 이탈리아 반도에서 주도권을 쥔 독립국가로서 침략과 동맹의 역사를 답습하는 혼란한 상황이었다. 신생국 피렌체가 성립할 무렵이었고, 따라서 신생국의 군주는 어떻게 권력을 얻고 어떻게 통치해야 하는가가 주요 관심사였다. 15세기 피렌체 공화국의 신생 군주가 나아가야 할 방향, 신생 군주의 자격 조건을 구상하여 집필한 것이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이다.
나는 복잡다단한 삶의 문제를 막연하게 이해하는 것이 싫어서 전문적으로 철학 공부를 시작했다. 그랬더니 알아듣기 힘든 난해한 문장과 고리타분한 규범을 집대성한 텍스트가 끝없이 이어졌다. 난해성의 늪에 익사하기 직전에, 철학자는 시대의 아들이라는 헤겔의 문구를 발견했다. 갑자기 헤겔 철학으로 학위를 받겠다는 생각이 들면서 샘솟는 기운으로, 인간 생명체의 의미와 삶의 철학을 정치철학과 여성주의 철학으로 풀어내는 역량을 길렀다. 연세대학교에서 「헤겔 대논리학의 자기의식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다음, 학창 시절에 나와 유사한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을 겨냥한 『사랑의 철학』과 『사람은 왜 인정받고 싶어하나』를 출간했다. 여러 동학과 함께 『다시 쓰는 서양 근대철학사』 『서양근대종교철학』 『다문화사회와 철학』 등을 썼다. 지금은 한국 사회에서 인권과 청년세대의 삶을 고양하는 문제와 이것을 세계 여성의 상황과 연결하는 문제를 고민하면서 유엔연합의 1325호 결의안과 세대평등을 철학적으로 탐색하고 있다.
서문
1장 공화정의 주춧돌을 놓는 군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군주론』을 들추어라
마키아벨리가 살았던 시대
신생 군주국에서 입각 경쟁
통일 군주의 자격 조건
군주국을 교란하기
2장 『군주론』 읽기
어떤 군주에게 헌정하는 책인가?
시대의 요청으로서 군주국
군주국의 분류
군주국을 획득하고 유지하는 방법
군주의 처신 방법으로서 법과 힘
국가의 토대로서 좋은 군대
군주의 본질은 자나 깨나 군무
군주국의 미래
3장 철학의 이정표
플라톤, 『정치가』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임마누엘 칸트, 『영원한 평화를 위하여』
카를 마르크스, 『루이 보나파르트의 브뤼메르 18일』
루이 알튀세르, 『마키아벨리의 가면』
스베틀라나 알렉시예비치,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생애 연보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