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학개론 (2013년개정판)
급변하는 방송 환경을 따라잡기 위해 개정 3판이 나온지 1년 반만에 개정 4판이 나왔다. 2013년판은 2012년 방송법을 반영하는 등 최신 방송 데이터와 사례를 수록했다. 라디오와 텔레비전 방송의 역사를 보강했고, 디지털방송 전환 등 뉴미디어 기술 발달로 나타난 다양한 이슈를 소개했다. 디지털 시대, 변하지 않는 방송의 본질과 새로운 특질을 명확하게 비교한다.
2013년 개정 3판 서문 v
PART 1 방송의 영역
01 방송의 개념과 범위 3
방송의 개념 3
방송의 이념과 공익성 11
방송 공익성의 실천적 개념: 좋은 방송 17
02 방송의 역사 25
세계 방송 역사 25
한국 라디오방송 역사 28
한국 텔레비전방송 역사 34
03 방송 현황 45
지상파방송 45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System Operator) 50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Program Provider) 52
위성방송사업자 56
이동형멀티미디어방송(DMB) 58
PART 2 방송의 내용
04 방송과 규제 67
방송 규제에 대한 논의와 규제기구 67
방송의 진입규제와 소유규제 76
방송의 소유규제 80
방송의 내용규제 84
05 방송과 편성 98
방송프로그램의 개념과 분류 98
지상파 텔레비전방송 편성 103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 편성 120
06 방송조사 124
방송조사의 개념 124
양적 조사: 시청률 조사 126
질적 조사: 프로그램 품질 평가 조사 144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의 연계 148
PART 3 방송의 경영
07 방송사의 조직과 구성 155
방송 조직 155
방송사의 조직 구성 164
방송사의 인력 구성 167
방송 조직의 변화 173
08 방송사 경영 환경 178
방송시장의 구조 178
한국 방송사들의 경영 구조 180
시장 개방에 따른 방송 경영의 변화 186
09 방송과 광고 193
방송광고의 특징 193
미디어별 방송광고의 특징과 유형 194
방송광고의 집행 204
방송광고의 변화 212
PART 4 방송의 환경
10 방송의 사회적 영향 223
방송과 생활 224
방송의 기능 229
방송의 사회적 쟁점 233
방송의 효과에 관한 이론 243
한류와 방송의 세계화 248
11 방송과 정치 255
방송과 미디어 정치 256
선거와 방송 257
방송의 여론조사 보도 266
방송의 정치적 독립성과 민주주의 270
12 방송과 시청자 278
시청자 주권 278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시청자 주권 281
외국의 시청자 운동 283
한국의 시청자 운동 287
방송 모니터링 이론과 실제 292
방송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296
PART 5 방송의 미래
13 방송통신 융합 환경의 이해 307
융합의 개념과 동인 307
융합의 차원 310
방송의 디지털화 312
방송 디지털화의 파급효과 320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와 미디어 공익성 324
14 뉴미디어의 특성과 유형 332
뉴미디어의 특성 332
뉴미디어의 유형 334
뉴미디어의 사회적 영향 346
뉴미디어 사업자 간의 갈등 사례 349
뉴미디어의 민주적 이용을 위하여 352
15 방송 기술의 이해 356
방송 매체와 방송 기술 356
방송 시설 363
디지털방송의 기술적 특성 371
방송 기술의 발전 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