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 선생님 “고맙습니다”로 시작하는 효
효에 관한 유교경전의 내용 소개, 효의 당위성 강조 및 효의 문화적 가치 고양에 관한 글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론적이고 교양적인 활동이 젊은 사람들로 하여금 효를 실천하고 체험토록 하는 결실로까지 이르지 못한다는 걱정의 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우리가 간절히 바라는 바는 다음 세대가 효를 이해하고 실천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 문화적 가치를 이들의 다음 세대로 전수해 주는 것입니다. 이러한 소원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젊은 세대로 하여금 효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실천, 체험하도록 이끌어 주는 기성세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자라나는 사람들이 어릴 때부터 고령자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심성을 가짐으로써 앞으로 고령자의 복지는 물론 이분들을 가족과 사회에 통합하는 데 매우 바람직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 우리가 물려받은 효의 가치를 다시 밝혀 젊은 세대가 변하는 생활환경에 맞게 실현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안으로 도와 나가야 하겠습니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자료는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소나마 참고가 될 것이라 생각하여 시험적으로 꾸며본 방법입니다.
제1부에서는 저자의 조사에서 효의 핵심적 차원으로 드러난 ‘부모 은혜에 대한 보답’, ‘부모에 대한 의무수행’, ‘부모를 중심으로 하는 가족화합’, ‘부모에 대한 존경’과 관련해서 아동과 청소년이 비교적 쉽게 행할 수 있다고 보는 기초적인 표현을 골라서 제시하였습니다. 이러한 표현을 하는 대상으로서 부모, 선생, 형과 누이, 친척, 친구, 이웃을 들었습니다.
제2부는 사회화의 장(場)인 가정과 교육의 장인 학교에서 어린 세대를 가르치는 과제에 대해서 논의하고, 새 시대의 효의 실천방향, 효행의 유형, 부모 은혜에 대한 감사, 어른 존경의 내용분석에 대해서 논의하고 청소년의 효행 사례들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책에서 탐험적으로 꾸며본 시도가 앞으로 더 개발되어 젊은 세대가 효를 이해하고 실천, 체험하도록 이끌어 주고 나아가 이들이 이 문화적 자산을 다음 세대로 이전하는 힘을 길러줄 수 있기를 바랍니다.
성규탁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사, 석사
미국 미시간대학교(앤아버) 사회사업대학원 석사, 박사
미국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사회사업대학원 교수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교수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소장미국 시카고대학교 Fellow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교수미국 남가주대학교(USC) 사회사업대학원 석좌교수미국 미시간대학교 사회사업대학원 초빙교수Elder-Respect, Inc. 대표(elder-respect)
현) 자광재단 효문화연구소 대표한국사회복지사협회 원로회 공동위원장한국고령사회비전연합회 교육원 원장한국사회복지협의회 발전위원회 고문세계노년학ㆍ노인의학대회 조직위원회 고문
저서(국내)
『새 時代의 孝』(연세대학술상 수상, 1995)
『새 시대의 효 I』(아산효행상 수상, 1996)
『새 시대의 효 Ⅱ』(문화공보부 추천도서, 1996)
『새 시대의 효 Ⅲ』(1996)
『현대한국인의 효』(한국학술원선정우수도서, 2005)
『한국인의 효 Ⅰ - 이어지는 전통과 변하는 실천』(2010)
『한국인의 효 Ⅱ - 시대의 변화와 실천의 유형』(2010)
『한국인의 효 Ⅲ - 새 시대의 어른 존경』(2010)
『한국인의 효 Ⅳ - 따로 사는 자녀와 실천』(2010)
『한국인의 효 Ⅴ - 보살핌을 주고받는 세대관계』(2010)
『어른을 존중하는 중국, 일본, 한국 사람들 - 새 시대의 실천방식』(2011)
『어떻게 섬길까 - 동아시아인의 에티켓』(2012)
『한국인의 서로돌봄: 사랑과 섬김의 실천』(2013)
『사회복지행정론』(2003)
『사회복지행정조직론』(1992)
『산업복지론』(1992)
『정책평가』(1993) 외
인사말
머리말
제1부 효의 실행
제1장│은혜에 대한 보답
제2장│자녀의 의무수행
제3장│가족 중심의 화합
제4장│부모님과 어른에 대한 존경
제2부 논설
제5장│교육의 장: 가정과 학교
제6장│은혜에 대한 감사
제7장│새 시대의 실천방향
제8장│노소가 서로 돌보는 배움터
제9장│효행의 유형
제10장│어른 존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