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경제론
본서는 중국경제 이해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하고, 중국경제를 연구하거나 배우는 연구자, 기업, 대학생 나아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중국경제의 전체적인 구조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집필되었다. 즉 중국경제를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는 사고의 ‘틀’ 제공에 방점을 둔 것이다. 시기적으로는 1980년대 개혁개방 이후 특히 2000년 이후에서 지금까지의 중국, 즉 현대중국경제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 각 분야를 다루었다. 이를 통해 중국진출과 시장확대에 애쓰고 있는 기업인과 중국경제의 현재를 이해하고 싶어 하는 후학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관점을 가지고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성하였다. 내용구성 원칙은 중국경제 전체를 아우르며, 총체적인 구조에 대한 시각을 제시하고, 주요 분야를 종합적으로 다루는데 두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경제구조: 중국경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전체적인 구조를 제시하기 위해 중국경제구조의 현황(기본적인 프레임)과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하고 있는 중국경제구조의 변화추세를 다루었다.
경제발전과정: 현대중국경제는 1978년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선언 이후의 일로 정의하고, 따라서 개혁개방 이후 중국경제가 걸어온 길을 제도의 변화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중국경제정책: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지향하는 중국의 경제정책의 기본인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의 특징은 물론, 중국경제정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도시화를 포함하는 지역개발정책과 산업구조개선과 신흥산업발전을 축으로 하는 산업정책을 주요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대외경제교류: 무역부분에서는 세계 1,2 위를 다투는 무역대국으로 부상한 중국의 대외무역현황과 특징, 한-중 무역현황을 다루었으며, 투자분야에서는 중국의 투자유치는 물론 최근 확대되고 있는 대외투자(저우추취)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주요산업 및 SOC: 자동차, 철강, 화학, 물류, ICT, 환경ㆍ에너지산업 등 중국의 주요 산업분야를 대부분 포함하여 중국의 산업구조를 보다 명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산업구조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회간접자본(SOC)의 현황을 물류적 관점에서 다루었다.
중국시장: 세계의 시장으로 변화되면서 블루오션이 되고 있는 소비시장과 개방 폭을 더욱 넓혀가고 있는 금융산업을 중점으로 다루었다.
대외경제협력: 세계경제의 체제로 본격 편입된 중국의 WTO가입과 영향, 지역경제협력 및 FTA 등 경제협력 분야를 객관적 입장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곽복선(郭福?)
現 경성대학교 중국대학 교수
現 글로벌차이나연구소 소장
성균관대학교 무역학과
KOTRA 해외조사팀, 특수사업부, 북한실, 동북아팀, 제주사무소장 역임
KOTRA 타이뻬이, 상하이, 베이징, 청뚜, 칭다오 해외무역관 근무(1990-2007년).
KOTRA 베이징 무역관장, 중국팀장, 중국사업단장(2008-2012)
중국 지역개발정책의 유형변화에 대한 연구(2013)
「개원의 치세」 (2002. 역서)
「죽림칠현-빼어난 속물들」 (2007. 역서)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 전략」 (2012. 공저)
김동하(金東河)
국제경제학박사
現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학부 교수
現 부산중국연구회 회장
現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자문위원
중국청화대학, 한국외대 졸업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연구위원
POSRI 북경사무소 대표
한국외환은행경제연구소 연구원
중국 금융종합개혁실험구 정책 평가(2013)
중국경제 선행지표의 유효성에 관한 연구(2013)
「위안화 경제학」 (2011)
「차이나 머천트」 (2013)
서창배(徐暢培)
경제학박사/정치학박사
現 부경대학교 국제지역학부 교수
現 기획재정부 공공기관 경영평가단 위원
現 한중사회과학학회 부회장
現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전문가풀 위원
한양대학교ㆍ중국인민대학 졸업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북경사무소 대표
부산중국연구회 회장
한ㆍ중ㆍ일 FTA의 추진현황과 필요성 연구(2011)
중국경제가 국내 지역경제에 미친 영향(2012)
「현대중국사회: 10개의 시선, 하나의 중국」(2009. 공저)
「중국의 WTO 분쟁사례 연구」(2011. 공저)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 전략」(2012. 공저)
김형근(金亨根)
경제학박사
現 신라대학교 중국어중국학과 교수
現 지식경제부 경제자유구역기획단 물류자문위원
대외경제무역대학 졸업
주중한국대사관 연구원
중국대외경제무역대학교 객원교수
정석물류통상연구원 초빙연구원
Third-party enterprises’ perceptions of green
logistics in China(2013)
중국 서삼각경제권 물류산업 환경 분석에 관한 연구(2013)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 전략」 (2012. 공저)
「중국통상론」 (2013. 공저)
장정재(張正在)
기업관리학박사
現 부산발전연구원 연구위원
現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자문위원
중국인민대학 졸업
한중 지방정부간 효율적 교류협력 방안 (2013)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부산기업의 대응 (2013)
「쉽게 풀어 쓴 중국재무회계와 조세실무」 (2010)
「부산의 차이나드라이브 전략」 (2012. 공저)
제 1 장 중국경제구조 개황
제 1 절 개요
제 2 절 경제성장
제 3 절 경제기본 프레임
제 4 절 중국경제정책 현황과 특징
제 2 장 현대 중국경제 발전과정
제 1 절 중국의 대외개방 이행 배경과 추진과정
제 2 절 중국 대외개방정책의 확립과정
제 3 절 경제특구 건설과 우대정책
제 3 장 중국 지역개발 정책
제 1 절 서부대개발정책
제 2 절 동북진행정책
제 3 절 중부굴기정책
제 4 절 권역 및 도시군 개발전략
제 4 장 산업정책
제 1 절 개요
제 2 절 산업정책의 기본적인 방향과 산업구조조정지도목록
제 3 절 주요 산업정책
제 5 장 중국의 FDI 및 OFDI
제 1 절 해외직접투자 현황
제 2 절 중국의 외국인 직접투자제도
제 3 절 중국의 저우추취(OFDI) 정책
제 6 장 중국의 대외무역
제 1 절 개요
제 2 절 중국 대외무역의 특징
제 3 절 한-중 무역
제 7 장 중국경제 구조변화
제 1 절 탈중국화 현상
제 2 절 도시화 문제
제 3 절 노동 문제
제 4 절 중국의 사회보장제도
제 5 절 농촌 문제
제 6 절 중국경제의 성장방식 전환
제 8 장 중국의 주요 산업
제 1 절 신발산업
제 2 절 가전산업
제 3 절 자동차산업
제 4 절 철강산업
제 5 절 조선산업
제 6 절 석유화학산업
제 7 절 해양경제산업
제 8 절 에너지 환경산업
제 9 절 물류 산업
제 10 절 ICT산업
제 9 장 중국 교통 인프라
제 1 절 철도
제 2 절 도로
제 3 절 항공
제 4 절 해운
제 10 장 중국 금융
제 1 절 중국 금융구조
제 2 절 중국 금융시장
제 3 절 위안화 국제화
제 11 장 중국 소비시장
제 1 절 소비시장의 규모
제 2 절 소비구조와 소비관련 내수확대정책
제 3 절 소비유통
제 4 절 소비트렌드 및 마케팅 포인트
제 12 장 중국의 WTO 가입과 지역경제협력
제 1 절 WTO 가입
제 2 절 중국 정부조달시장 현황과 WTO GPA
제 3 절 중국 F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