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락
존재의 중추신경을 건드리는 작가 J. M. 쿳시에게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안겨준 대표작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남아프리카의 보이지 않는
균열에 대한 첨예한 사고
2003년 노벨문학상
1999년 부커상
2015년 가디언 선정 최고의 소설 100
2019년 BBC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소설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한다.”
_보이드 톤킨(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쿳시는 소설을 ”사유의 한 방식“으로 생각하고, 인류 역사에서 이런저런 형태로 존재해온 제국주의, 식민주의, 권력, 성, 인종, 동물 등의 다양한 문제들을 심오하게 형상화해 차원 높은 경지로 끌어올린 작가다. 그의 소설에서 지적 향기와 품격이 느껴지는 것은 그래서다. 『추락』은 그가 쓴 소설 중에서 최고 중의 최고인 소설이다. 영국 BBC 방송이 선정한 ‘죽기 전에 읽어야 할 100권의 책’에 이 소설이 포함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만큼 예술적 완성도가 높은 소설이라는 말이다. 이 소설은 우리에게 예술에서 숭고미가 무슨 의미인지를 느끼게 할 정도로 잘 짜이고 잘 쓰였다. 비애와 비극의 정조가 배어 있는 장엄하고 숭고한 아름다움이 느껴지는 소설이라고나 할까. _왕은철(번역가)
“존재의 중추신경을 건드리는 작가”이자 “종달새처럼 솟구쳐 독수리처럼 내려다보는 상상력을 지닌 작가”로 불리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대표하는 거장으로 꼽히는 J. M. 쿳시의 대표작 『추락』이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256번으로 출간된다. 『야만인을 기다리며』 『철의 시대』 『마이클 K의 삶과 시대』 등 쿳시의 작품들을 꾸준히 번역하고 소개해온 왕은철 번역가의 번역으로, 2000년 국내에 처음 소개된 이후 24년 만에 번역을 다듬어 새롭게 선보인다.
『추락』은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백인 정권에서 흑인 정권으로 권력이 이양된 남아프리카공화국을 배경으로, 추문에 휩싸여 추락한 중년의 백인 교수가 자신과 딸의 명예를 위해 분투하는 이야기를 그렸다. 쿳시는 이 작품으로 한 작가에게 두 번 수여하지 않는다는 전례를 깨고 사상 최초 두번째 부커상을 수상했다.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장 레럴드 코프먼은 “후기식민주의 이후 인류에게 일어난 일들에 대한 우화”라고 평했으며, 1999년 부커상 심사위원 중 한 명인 보이드 톤킨은 “사랑, 성 정치의 한계만이 아니라 인간성 자체의 한계를 시험”하는 작품이라고 말했다.
현대 영어권 문학에서 최고의 비평적 찬사를 받는 작가 중 한 사람. 1940년 남아프리카연방(이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태어났다. 케이프타운 대학교를 졸업하고 잠시 영국에서 컴퓨터프로그래머로 재직한 뒤 미국으로 가 오스틴 텍사스 대학교에서 언어학·문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8~71년 버펄로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영문학을 강의하며 소설 창작을 시작했다. 베트남전 반대 시위대에 대한 진압병력의 철수를 요구하는 연좌농성에 참여했다가 미국 영주권 신청이 기각된 뒤 1971년 남아공으로 귀국했다. 1972년 케이프타운 대학교 영문과 교수가 되어 2001년까지 재직했고, 이후 오스트레일리아로 이주, 애들레이드 대학교에서 문학을 강의하며 동물보호단체 ‘보이스리스’에서 활동하고 있다. 첫 장편 『어둠의 땅』(1974)을 발표한 이래 『마이클 K의 삶과 시대』(1983)와 『치욕』(1999)으로 이례적이게도 두번 부커상을 받았고 2003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받는 등 작가로서 세계적 명망을 쌓았다. 서구 식민주의의 야만에서 자유주의적 지식인의 취약성과 작가의 윤리까지 근현대의 첨예한 문제들을 집요하게 탐색하는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왔다. 『야만인을 기다리며』(1980), 『포』(1986), 『철의 시대』(1990), 『뻬쩨르부르그의 대가』(1994), 『느린 남자』(2005), 『어느 운 나쁜 해의 일기』(2007), 자전소설 3부작 『소년 시절』(1997) 『청년 시절』(2002) 『서머타임』(2009) 등의 소설과 몇권의 평론집 및 에세이집을 펴냈다. 『엘리자베스 코스텔로』(2003)는 후기 쿳시 소설의 돋보이는 문제작이다.
추락 7
해설 | 우리 안의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얼음도끼 309
J. M. 쿳시 연보 323
J. M. 쿳시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