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소 생활가이드
교도소/구치소에 수용 중인 수용자와 가족분들에게 수용생활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상담을 제공하고 심심한 격려와 위로의 말을 담았다.
이 책은 수용자와 그 가족들의 이야기입니다.
희망을 주는 이야기이자 마음치료의 시작이 되어 주는 이야기입니다.
교도소 생활가이드는 교도소/구치소에 수용 중인 수용자와 가족분들에게 수용생활에 대한 올바른 정보와 상담 그리고 회원들 서로 간에 격려와 지지를 주기 위한 온라인 자조모임으로 2017년 2월 시작되었습니다. 온라인 카페는 수개월 만에 급성장하여 많은 수용자 가족들이 서로의 마음을 나누고 있습니다.
이 책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수용자들에게도 수용생활에 대한 정보와 가족들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하여 출판되었습니다. 마음이란 그런 것인가 봅니다. 혼자 싸매고 있으며 더 곪아가고, 열어 놓으면 숨을 쉬고 치유되는 것. 재판을 받고 있는 사람, 수용자 가족, 교정공무원, 변호사, 공부하는 학생, 자원봉사자들이 서로의 역할은 다르지만 서로 치유하고 마음을 돌보며 온라인 카페에서 그리고 이 책에서 함께 하고 있습니다.
오크나무
심리 칼럼니스트로 교도소생활가이드 카페에서 수용생활 안내 칼럼을 작성하고 수용자 가족 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네이버카페 http://cafe.naver.com/oaktree2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ndreama
1편 교도소 생활가이드(카페스토리)
1·루빈의 컵
2·내일이면 교도소에 갑니다
3·범죄자에서 그의 연인으로
4·부모마음, 자식마음
5·그냥 이대로 헤어져야 할까요?
6·이제 이혼을 생각해야 할 때인가 봅니다
7·엄마, 저 이제 괜찮아요
8·신뢰 없는 사랑은 하루도 버틸 수 없다
9·배우자는 공범입니다
10·남편에게 싫은 소리를 했어요
11·고난은 행복의 전령이다
12·어디 좋은 변호사 없나요?
13·아픈 사람인 우리가 치료자입니다
14·감옥으로 보내는 편지
2편 범죄와 마음치유
1·과연 재수가 없어 걸린 걸까요?
2·성폭력 범죄, ‘빼박’입니다
3·어디까지가 정당방위인가?
4·일부러 구속되는 사람들 - 법무부 자식들
5· 방심이 부른 참사
6·고의로 범죄를 유발하는 사람들
7·죄가 되는지 모르고 한 일인데 처벌받나요?
8·도대체 그런 범죄행위를 왜 하는 걸까요?
9·교도소 ‘좆 밥’들
10·양극성 장애(Bipolar Disorder) - 조울증
11·교도소 생활을 진짜 힘들게 하는 것들
12·용서가 치유의 시작입니다
3편 미결수용 가이드
1·경찰에 체포, 구속영장이 청구된 경우 대처요령
2·국선변호인 제도
3·형사사건에서 국선변호인의 도움을 받는 방법과 절차
4·피고인의 반성문
5·구속적부심이나 보석청구를 해야 할까?
6·법원에 선처를 구하는 탄원서
7·미결수용 중 징벌을 받으면 안 되는 이유
8·미결수용자의 거실지정 및 생활
9·죄수의 딜레마와 변호사 선임
10·구속피고인의 항소와 상고
11·형사 합의를 위한 - 협상의 기술
12·Sex offender lives here - 여기는 성범죄자가 살고 있는 집입니다
13·2주짜리 상해진단서
14·서당개 3년이면 풍월을 읊는다고?
15·술에 취해서 기억이 안 난다고요?
16·구치소(교도소) 도서관 이용법
17·재판에서 감형을 받기 위한 노력
18·무인증명을 통한 수용자의 업무대리
19·기소유예, 선고유예, 집행유예
4편 기결수용 가이드
1·교도소의 휴가 ? 귀휴제도
2·가족들의 소풍 - 가족만남의 날 행사
3·가석방에 대한 오해와 진실
4·교도소 용돈 - 영치금 관리
5· 교도소에서 몸이 아플 때 - 진료와 치료
6·까마귀라 불리는 그들 - CRPT(기동순찰팀)
7·수용자들만의 비밀언어 - 교도소 은어
8·미지정수용동, 그 두 배의 긴 시간
9·교도소의 관계방정식
10·교도소, 징벌에 처해진다는 것
11·남자교도소의 성추행
12·교도소 적응기간
13·수용자의 입실거부
14·교도소 그 멈춰진 시간 속에서
15·교도작업과 운영지원작업
16·보고문 활용법
17·교도소 필수과정 집중인성교육
18·교도소 검정고시반
5편 수용자가족 가이드
1·탄원서 작성방법
2·구속집행정지 vs. 형집행정지 vs. 귀휴
3·협의 이혼 촉탁
4·호적에 빨간줄 - 범죄경력조회
5·일반접견의 모든 것
6·장소변경접견(특별접견)에 대하여
7·범죄와 불륜을 말한다
8·출소하면 두부를 주는 이유
9·긴급복지지원제도
10·법무부 온라인 민원서비스 이용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