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수사학
공자가 내세운 수사의 개념을 다양한 측면에 걸쳐서 밝히고 이를 통해 군자가 갖춰야 할 덕목에 대해 풀이한 책이다. 지도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도(道)이고 이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덕(德), 중(中), 화(和) 등의 14가지 덕목을 들었다. 각 요소를 장으로 나눠 공자의 말씀을 소개하고 풀이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년간 연구한 저자의 설명이 덧붙여진다.
공자의 수사학에서 비롯되는
군자의 리더십과 인성론
공자가 내세운 수사의 개념을 다양한 측면에 걸쳐서 밝히고 이를 통해 군자가 갖춰야 할 덕목에 대해 풀이한 책이다. 지도자에게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도(道)이고 이를 완성하는데 필요한 덕(德), 중(中), 화(和) 등의 14가지 덕목을 들었다. 각 요소를 장으로 나눠 공자의 말씀을 소개하고 풀이하였다. 이와 더불어 수년간 연구한 저자의 설명이 덧붙여진다.
참된 지도자 곧, 군자가 갖춰야 수사학이란 무엇인가
공자의 수사학은 말을 아름답게 수식하여 꾸미는 기능적인 측면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사람 특히, 지도자가 예로부터 내려오는 올바른 가치관인 선(善)을 이해하고 나아가 행할 수 있도록 설득하는 본질의 학문인 것이다. 따라서 수사는 비단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이해시키고 설득하는데 활용되었을 뿐 아니라, 동등한 신분으로서의 사람과 사람의 관계 심지어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가르치는데 있어서도 적극적으로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군자가 갖춰야 할 14가지 덕목
지도자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도(道)이고 도를 완성하려면 덕(德)이 필요하다. 덕이 충만해지기 위해서는 중(中)과 화(和)를 실천해야 한다. 중과 화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 내용이 되는 인(仁)과 의(義) 그리고 형식이 되는 예(禮)와 악(樂)을 중심으로 검(儉) 겸(謙) 자(慈) 강(가) 직(直) 지(知)를 몸소 행해야 한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도가 완성될 수 없으며 변치않고 일관되게 실천해나가는 상(常)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이처럼 도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가 유기적으로 조화를 이뤄서 함께 실천되었을 때 비로소 지도자의 리더십과 인성이 갖춰질 수 있다.
들어가면서
1. 주공(周公): 공자(孔子)의 이상향
2. 혼란의 춘추(春秋)시대
3. 명(名): 나라를 바로잡는 명분
4. 수사(修辭): 도리를 드러내어 밝힘
5. 군자(君子): 참된 지도자
6. 도(道): 지도자의 통치이념
7. 덕(德): 강함과 유함을 조화롭게 실천하는 절조
7-1. 오미사악(五美四惡): 육덕(六德)의 구체화
7-2. 일(一): 순일(純一)한 덕(德)
8. 중화(中和): 덕(德)의 양대 요소
9. 도(道)의 실천 내용과 형식
10. 인(仁): 진심으로 섬기고 따르는 어짊
10-1. 자(慈): 진심으로 아끼고 지켜주는 자애로움
11. 의(義): 신분에 따른 의무를 다하는 의로움
12. 예(禮): 조화(和)를 위한 절제와 통제
12-1. 예(禮)와 정치의 관계
12-2. 예(禮)와 검(儉), 예(禮)와 충(忠)의 관계
12-3. 형식으로서의 예(禮)의 가치
13. 악(樂): 예(禮)를 보완하는 온유함
13-1. 악(樂)과 문(文)의 관계
13-2. 예(禮)와 악(樂)의 조화
14. 검(儉): 검소함
15. 겸(謙): 겸손함
16. 강(剛): 사리사욕을 탐하지 않는 강직함
17. 직(直): 공정하게 판단하는 올곧음
18. 지(知):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지혜로움
19. 호학(好學)과 불호학(不好學)
20. 상(常): 변치 않는 초지일관의 자세
21. 떠날 것인가, 남을 것인가?
나오면서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