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케티가 되살린 마르크스 자본론 (개정증보판)
빈부격차 확대를 경고한 피케티에 의해 살아난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론
피케티 『21세기 자본』의 핵심인 부의 불평등과 노력해도 상속자의 부를 이길 수 없다는 이론에 이어 3년 만에 다시『 애프터 피케티』가 나오면서 19세기의 마르크스 자본이 재조명 되고 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는 1848년 2월 “이제까지 모든 사회의 역사는 계급투쟁의 역사이다.”라는 선언으로 포문을 여는 ‘공산당 선언’은 마르크스주의의 정수라 할 수 있다. 공산당선언의 마지막 구절, “노동자들은 공산주의 혁명에서 자신들을 묶고 있는 족쇄 외에는 잃을 게 없다. 그들에게는 얻어야 할 세계가 있다. 전 세계의 노동자여, 단결하라!”는 마르크스의 묘비명에도 새겨졌다.
특히 세계 여러 나라에서 노동자의 연대와 단결을 과시하는 국제적 기념일인 메이데이에 대표되는 구호가 바로, “전 세계의 노동자여, 단결하라!(Workers of the world. Invest!)”이다. 이 구호는 국가와 민족을 뛰어넘어 노동자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마르크스 자본론은 3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분량 또한 방대하다. 이 책은 일반 독자들이 꼭 알아야 할 ‘자본론’의 핵심을 알기 쉽게 옮겨 엮은 해설서이자 입문서로서, 마르크스의 원문을 현대적으로 해설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물론 원저자의 의도를 해치지 않으면서 마르크스 사상과 경제학의 핵심 이론인 ‘자본론’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노력했다.
저자 : 카를 마르크스
저자 카를 마르크스(Karl Heinrich Marx) 철학자, 경제학자, 정치학자, 국제 노동운동 지도자, 과학적 사회주의-공산주의의 창시자. 1818년 독일 라인 주 트리어 시에서 7남매 중 셋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프로테스탄트로 개종한 유대인이고, 어머니는 네덜란드의 귀족 출신이었다. 그의 아버지는 변호사로서 사상적으로는 계몽주의자이자 자유주의자였기에, 마르크스는 유복하면서도 자유로운 성장기를 보낼 수 있었다.
1835년 본 대학교에 입학해 그리스ㆍ로마 신화, 미술사 등 인문학을 공부하였다. 1년 뒤에는 베를린 대학교로 전학해 법률학, 역사, 철학을 공부하였다. 이 시기 청년들을 사로잡은 헤겔주의 사상에 마르크스 역시 영향을 받았으나, 헤겔의 타협적 경향 및 그 이론과 현실 사이의 괴리를 발견하자 현실에 관한 경제적인 연구로 나아가 독자적 사상을 구축하기 시작한다.
반정부적 사상으로 독일 정부의 탄압을 받고 망명한 파리에서 만난 엥겔스와는 남은 평생에 걸친 활동을 같이하게 된다. 마르크스는 프로이센 정부의 압력으로 1845년 파리에서도 추방당하였으며 벨기에 브뤼셀에서 머물던 중 프로이센 당국이 자신을 고소하지 못하도록 프로이센 국적을 포기한다. 이후 마르크스는 죽을 때까지 무국적자로 살아간다.
3년 정도 브뤼셀에 머물던 프로이트는 다시 이어진 탄압으로 1847년 런던으로 망명하여, 이후 대부분의 시간 동안 영국 런던에 거주한다. 이 시기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자동맹’을 결성하고, 엥겔스와 함께 『공산당 선언』을 작성해 발표하는 등 노동자들을 조직해 적극적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이곳에서 대영박물관을 다니며 정치경제학 연구에 몰두하였고, 그 20년에 걸친 결과물로 『자본론』을 완성한다.
생의 마지막 10년간 정신적ㆍ육체적 침체에 빠져 지내던 마르크스는 1883년 3월 14일 평생의 벗이자 협력자인 엥겔스가 지켜보는 가운데 런던 자택에서 눈을 감는다.
역자 : 강윤철
역자 강윤철 연세대학교 국어학과를 졸업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에서 영문학을 전공하였다. 출판사 편집장을 거쳐 지금은 에이전시에서 번역 활동을 하고 있다. 편저한 책으로 『생각의 망치: 기존 질서와 고정관념을 깨버린 니체의 혁명』 『놓치고 싶지 않은 특별한 생각』 『원하는 꿈에 명작을 그리는 담대한 생각』 『한번뿐인 인생 큰 뜻을 세워라』가 있으며 번역서로 『노인과 바다』 『카네기 인간관계론』 『데미안』 등이 있다.
머리말 두 청년의 운명적 만남이 세상을 바꾸다
프롤로그 아직도 살아있는 마르크스 자본론의 지혜
빈부격차 확대를 경고한 피케티에 의해 살아난 19세기의 ‘자본론’
‘자본론’을 읽으면 현대에 벌어지는 문제의 근원을 알게 된다
‘자본론’은 현실 사회를 어떻게 그리고 있는가
자본론 제1권 초판 프롤로그 해설
자본론 독일어 제2판 에필로그 해설
1. 상품의 생산과 교환 과정
상품의 두 요소 - 사용가치와 교환가치
상품에 나타난 노동의 이중성
가치의 형태 또는 교환가치
상품의 물신적 성격과 그 비밀
상품 교환의 배후에 소유자로서 있는 인간
2. 화폐의 생산과 상품유통
화폐의 역할과 가치척도
유통수단으로서의 화폐
가치를 갖는 화폐
3. 화폐의 자본으로의 전화
자본의 정식 - 화폐는 화폐를 증가시킨다
자본 증식의 모순
노동력이라고 하는 상품의 매매
노동 및 가치 증식 과정
불변자본과 가변자본
4. 절대적 잉여가치의 원천
노동력의 착취 정도
노동일 결정의 한계
잉여노동에 굶주린 자본가
노동일 연장을 위한 노력
표준 노동일을 위한 투쟁
잉여가치율과 잉여가치의 양
5. 상대적 잉여가치의 개념
자본가는 왜 노동일 축소에 동의하는가
협업의 비밀
분업과 공장제 수공업의 성격
공장제 수공업 같은 분업과 사회 내 분업
기계장치와 공장제공업
기계 경영이 노동자에 미치는 영향
공장노동자와 기계의 투쟁
공장제공업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논리
6. 절대적 잉여가치와 상대적 잉여가치의 생산
노동력 가치와 잉여가치의 양적 변동
잉여가치의 여러 표식
7. 노동임금의 본질과 형태
노동력가치 또는 가격의 임금으로의 전화
노동임금의 국가적 차이
8. 자본의 축적 과정과 자본주의의 위기
노동자의 단순재생산 모델
잉여가치의 자본으로의 전환
자본주의적 축적의 일반 법칙
축적의 강화와 자본의 잔혹한 수탈전
빈곤이 극대화된 자본주의사회의 존재 형태
9. 본원적 축적의 비밀
잘못된 출발점과 자본이 말하는 자유
농민에 대한 토지의 수탈
15세기 이후 노임 인하를 위한 피의 입법
자본가의 형성
자본주의적 축적의 역사
10. 근대 식민 이론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생애와 사상
카를 마르크스의 생애
마르크스의 사상과 자본론
자본론 둘러보기
자본주의와 이데오르기
프리드리히 엥겔스의 생애
마르크스 명언 46
마르크스 엥겔스의 사소한 이야기
카를 마르크스 연보
칼 마르크스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