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시대의 Global SCM
Global SCM에 관한 내용을 담은 전문서적입니다.
저자 : 김창봉
현)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교수
서울 영동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조지 워싱턴 대학원 졸업
일본 게이오대학 대학원 수학
중앙대학교 경영학 박사
경력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장 역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장 역임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 SAIS 방문 교수
기획재정부 정부업무자체평가위원 역임
국제 행사 심의위원회 위원 역임
인사혁신처 국가공무원 7급 면접위원 역임
국가공무원 5급 면접위원 역임
국세청 정부업무자체평가위원 역임
관세청 정부업무자체평가위원 역임
관세사 자격 특별 전향 시험출제위원
AEO 심의위원회 위원 (현)
관세사자격심의·징계위원회 위원 (현)
적극행정자문위원회 위원 (현)
법무부 국적심의위원회 위원 (현)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업무자체평가위원 (현)
서울지방국세청 납세자 보호위원회 위원장 (현)
포상
한국물류학회 국토해양부 장관상
무역의 날 대통령 표창
관세청장 표창
학회 활동
한국통상정보학회 회장 역임
한국기업경영학회 회장 역임
한국무역학회, 한국국제상학회, 한국물류학회, 국제 e-business 학회,
한국취업진로학회, 한국관세학회, 한국창업학회 부회장(현)
저서 글로벌 경쟁시대의 GSCM 전략
무역학원론 공저
알기 쉬운 무역학원론 공저
주요 논문 (SCI급)
2016 Impact of Application Factors of the AEO Program on its Performance
2015 The Influences of Quality Management System Standards(ISO 9000) on
Supply Chain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2014 How Technology Appropriateness Affects its Usage and Outcomes :
the Korea’s National Single Window Experience
Exploring the Black Box of Task-technology fit; The Case of the Korean
Single Window System
PART 01 무역환경의 패러다임 변화와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비즈니스
Introduction: “4차 산업혁명과 무역 1조 달러”
Ⅰ. 글로벌 비즈니스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무역 _ 8
02 글로벌 비즈니스 패러다임의 변화 _ 9
Ⅱ. 글로벌 공급체인의 영향요인
01 글로벌 공급체인의 개념 _ 13
02 글로벌화의 목표와 근거 _ 14
03 글로벌 공급체인 영향요인 _ 16
Ⅲ. 4차 산업혁명과 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01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무역 _ 20
02 한국무역 패러다임의 변화 _ 22
Chapter 01 Case: “대웅제약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 구축”
CHAPTER 02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Introduction: “글로벌 밸류체인의 명함”
Ⅰ. 4차 산업혁명시대의 SCM 패러다임
01 4차 산업혁명시대와 공급체인관리 등장 _ 33
02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급체인 발전 방향 _ 36
03 공급체인관리의 주요 분야 _ 38
Ⅱ. 공급체인관리 도입 과정
01 공급체인관리 도입 _ 41
02 공급체인관리 도입 필요성 _ 42
Ⅲ. 공급체인관리 발전과정
01 공급체인관리의 발전 _ 46
02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확산 _ 49
03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도입 배경 _ 50
Chapter 02 Case: “BMW의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3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분석
Introduction: “미국, 삼성-LG세탁기에 ‘최고 50% 관세폭탄’”
Ⅰ. 글로벌 기업의 환경분석
01 공급체인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4차 산업혁명 요인 _ 62
02 공급체인관리의 디지털화 _ 64
Ⅱ.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환경분석
01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환경 특성 _ 68
02 GSCM 환경조사의 프레임웍 _ 70
Ⅲ. 글로벌 비즈니스를 촉진하는 글로벌 환경요인
01 글로벌 환경요인의 개념 _ 74
02 글로벌 공급체인관리를 촉진하는 글로벌 환경요인 _ 75
Chapter 03 Case: “SIEMENS 스마트 팩토리 사례”
CHAPTER 04 GSCM 전략적 적합성
Introduction: “‘아이폰X’ 생산지연 어디까지? Apple, 부품 출하 조정중”
Ⅰ. 글로벌 비즈니스와 GSCM 프로세스의 발전과정 01 Industry 4.0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전략적 적합성 _ 87
02 전통적 GSCM과 Industry 4.0 GSCM의 전략적 적합성 _ 88
03 GSCM 프로세스의 발전과정 _ 90
Ⅱ. GSCM의 지연전략
01 지연전략의 개념 _ 95
02 GSCM의 지연전략 _ 95
Ⅲ. GSCM의 전략적 적합성
01 전략적 적합성의 개념 _ 99
02 GSCM 공급체인 전략적 적합성 달성 _ 100
Chapter 04 Case: “Zara VS. Uniqlo의 공급망 네트워크 설계”
PART 02 글로벌 경쟁의 패러다임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5 글로벌 밸류체인
Introduction: “CJ대한통운의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Ⅰ. GSCM의 글로벌 밸류체인
01 Industry 4.0 시대 확산과 글로벌 밸류체인의 관점 _ 115
02 Industry 4.0 시대 글로벌 밸류체인 _ 118
03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밸류체인 _ 120
Ⅱ. GSCM의 공급체인 프레임워크
01 GSCM 공급체인 프레임워크의 외부요인 _ 124
02 GSCM 공급체인 프레임워크의 내부요인 _ 125
Ⅲ. GSCM의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01 성공전략과 위협의 개념 _ 129
02 GSCM 성공전략과 위협요인 _ 130
Chapter 05 Case: “이랜드그룹 전 세계 공급망으로 빠르게 확대” 4
CHAPTER 06 글로벌 위험관리
Introduction: “세계경제포럼, 무기화된 AI, IoT 해킹으로 인한 위협 경고”
Ⅰ.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배경 및 프레임워크
01 글로벌 위험관리의 배경 _ 144
02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프레임워크 _ 149
Ⅱ.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특성 및 유형
01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특성 _ 154
02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유형 _ 155
Ⅲ. 글로벌 위험관리 프로세스
01 공급체인 위험관리의 동기 _ 158
02 글로벌 공급체인 위험관리 프로세스 _ 159
Chapter 06 Case: “일본 지진으로 세계 자동차 생산량 500만대 감소 전망”
CHAPTER 07 글로벌 아웃소싱
Introduction: “롯데마트-롯데슈퍼 글로벌 아웃소싱 전략”
Ⅰ. 글로벌 아웃소싱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아웃소싱의 배경 _ 173
02 글로벌 아웃소싱의 동기 _ 177
03 글로벌 아웃소싱의 기능 _ 178
Ⅱ. 글로벌 아웃소싱의 개념 및 프레임워크
01 글로벌 아웃소싱의 개념 및 정의 _ 179
02 글로벌 아웃소싱의 특성 및 유형 _ 180
03 글로벌 아웃소싱의 프레임워크 _ 182
Ⅲ.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핵심역량 강화
01 핵심역량의 개념 _ 184
02 핵심역량의 정의 _ 185
03 핵심역량의 프레임워크 _ 185
Chapter 07 Case: “한샘 글로벌 아웃소싱 전략”
CHAPTER 08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
Introduction: “글로벌 경제 저성장, 프로세스 혁신으로 뚫자”
Ⅰ.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배경 및 동기 _ 196
02 글로벌 프로세스의 전략적 목적 _ 201
03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필요성 _ 202
Ⅱ.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개념 및 정의
01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개념 _ 204
02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정의 및 요인 _ 205
03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전략적 방향 _ 207
Ⅲ.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응용
01 시스템 분석의 개념 _ 209
02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의 시스템 분석 단계 _ 209
Chapter 08 Case: “IBM 글로벌 프로세스 혁신”
PART 03 글로벌 협력의 패러다임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09 글로벌 로지스틱스
Introduction: “BMW 신차 유라시아 물류망 구축”
Ⅰ.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배경 및 동기
01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배경 및 동기 _ 226
02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중요성 _ 230
03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개념 _ 231
Ⅱ.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단계
01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구조적 변화 _ 234
02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단계 _ 234
Ⅲ. 제3자 물류의 개념 및 활용
01 제3자 물류의 등장 배경 _ 238
02 제3자 물류의 개념 _ 238
03 제3자 물류의 기대효과 _ 239
Chapter 09 Case: “KOTRA 해외공동물류센터”
CHAPTER 10 역물류(Reverse logistics)와 해외직구
Introduction: “유럽의 회수물류 BSH Group과 DHL”
Ⅰ. Green SCM의 정의 및 개념
01 Green SCM의 시대 _ 253
02 Green SCM의 개념 _ 254
Ⅱ. 친환경 물류와 역물류
01 친환경 물류의 등장 배경 _ 258
02 친환경 물류의 개념 _ 259
03 역물류 _ 259
Ⅲ. 해외 역직구
01 해외 직구의 개념 및 정의 _ 263
02 해외 직구의 시장규모 _ 265
03 해외 직구 및 역직구의 비즈니스 모델 _ 266
Chapter 10 Case: “국경을 넘는 역물류, 역직구 전략”
CHAPTER 11 글로벌 소싱
Introduction: “Maesk그룹의 글로벌 소싱 전략”
Ⅰ. 글로벌 소싱의 개념 및 동기
01 글로벌 소싱의 등장 배경 _ 279
02 글로벌 소싱의 정의 및 개념 _ 281
Ⅱ. 글로벌 소싱의 전략적 방향
01 글로벌 소싱의 중요성 _ 285
02 글로벌 소싱의 전략적 방향 _ 286
03 국제구매와 글로벌 소싱의 발전 _ 287
Ⅲ. 글로벌 조달
01 글로벌 조달의 주요 역량 _ 290
02 전자조달 요인 _ 293
Chapter 11 Case: “미국 연방정부 480조 조달시장 진출 전략”
CHAPTER 12 국제표준인증과 글로벌 파트너십
Introduction: “ISO 국제경영시스템 표준의 변천”
Ⅰ. 국제표준인증의 개요
01 국제표준인증과 글로벌 무역규제 _ 304
02 국제표준인증의 확산 배경 _ 305
03 국제표준인증의 개념 및 유형 _ 306
Ⅱ. 글로벌 파트너십의 개념
01 글로벌 파트너십의 중요성 _ 308
02 글로벌 파트너십의 주요 이슈 _ 309
Ⅲ. 국제표준인증과 글로벌 파트너십
01 국제표준인증의 이점 _ 311
02 국제표준인증과 글로벌 파트너십 간의 관계 _ 314
Chapter 12 Case: “IBM, 머스크, 딜로이트의 글로벌 파트너십”
PART 04 제4차 산업혁명시대와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13 Industry 4.0과 GSCM
Introduction: “사물형인터넷(IoT)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Ⅰ.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4.0(GSCM 4.0)
01 4차 산업혁명시대와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_ 329
02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4.0 _ 330
03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4.0의 발전 방향 _ 333
Ⅱ.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와 사물형인터넷(IoT)
01 사물형인터넷(IoT)의 개념 _ 337
02 사물형인터넷(IoT)의 현황 _ 338
03 국가별 Industry 4.0 대응 전략 _ 340
Ⅲ. 글로벌 공급체인관리의 스마트화와 지속가능성
01 스마트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_ 344
02 지속가능성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_ 347
Chapter 13 Case: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CHAPTER 14 글로벌 통관제도와 싱글윈도우 및 AEO 제도
Introduction: “한국 KTNET, 케냐 싱글윈도우 시스템 구축”
Ⅰ. 글로벌공급체인관리와 통관제도 활용
01 글로벌공급체인관리와 통관제도 _ 359
02 관세행정의 핵심업무 _ 360
Ⅱ. 글로벌공급체인관리와 싱글윈도우(Single Window)
01 싱글윈도우의 개요 _ 364
02 한국의 싱글윈도우 _ 366
Ⅲ. 글로벌공급체인관리와 AEO 제도
01 AEO 제도의 개요 _ 370
02 AEO 제도의 인증기준 _ 371
03 AEO 제도의 혜택 _ 372
04 AEO 인증 단계 _ 373
05 AEO MRA 현황 및 혜택 _ 375
Chapter 14 Case: “‘무역 원활화의 지름길, Korea AEO’ SK 하이닉스 사례”
CHAPTER 15 GSCM과 글로벌 창업
Introduction: “글로벌 창업에 성공하려면”
Ⅰ. 글로벌 창업의 개요
01 4차 산업혁명과 글로벌 창업 _ 384
02 글로벌 창업의 기능 _ 388
03 글로벌 창업의 구성요소 _ 389
Ⅱ. 글로벌 창업의 유형
01 글로벌 창업의 특성 _ 391
02 글로벌 창업기업의 특성에 따른 유형 _ 392
03 글로벌 프랜차이즈 _ 395
Ⅲ. GSCM과 글로벌 창업
01 글로벌 공급체인관리 _ 400
02 글로벌 창업가 정신(Global Entrepreneurship) _ 401
03 글로벌 공급체인 관리와 글로벌 창업가 정신 _ 402
Chapter 15 Case: “글로벌 창업 사례”
국문 색인
영문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