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뉴스룸 다양성

뉴스룸 다양성

저자
김선호
출판사
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일
2022-10-11
등록일
2023-04-12
파일포맷
AUDIO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뉴스룸 다양성은 저널리즘 품질의 바로미터
뉴스룸 다양성 증진 조건과 한국 뉴스룸 다양성 진단


오늘날 언론은 디지털 혁명에 따른 산업적 생존의 위기와 더불어 언론이 민주주의 제도의 근간을 이루는 한 부분이라는 신념의 위기라는 이중적 난관에 직면하고 있다. 이 가운데 시민에 대한 충성을 최고 가치로 여기는 언론, 사회정의를 위해 소외된 계층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언론, 더 나아가 수용자와 연대하는 언론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 요구는 뉴스룸 다양성에 대한 논의로 이어지고 있다.
뉴스룸 다양성은 저널리즘 관련 여러 컨퍼런스에서 비중 있게 논의되고 있으며, 2021년 세계경제포럼도 이와 관련하여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뉴스룸 다양성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미국과 유럽 뉴스룸에서 성별·인종별 다양성에 대한 조사와 진단으로 이어지고 있다.

뉴스룸 다양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조사 결과도 발표되고 있지만, 아직 개념적 체계가 충분히 갖춰지지 못했다. 그리고 뉴스룸 다양성을 어떻게 측정할지에 대해서도 정교한 방법론이 도출되지 못했다. 이 책도 완결된 이론적 체계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뉴스룸 다양성과 관련하여 다양한 관점과 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제공한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책은 8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과 2장은 뉴스룸이 시민을 대표한다는 생각의 역사적 기원과 전개과정, 그리고 대표성 개념이 어떻게 다양성 개념과 연결되는지 살펴본다. 3장과 4장은 뉴스룸 다양성에 어떤 인구학적 범주들이 적용되며, 뉴스룸 다양성을 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한다. 5장과 6장은 다양한 뉴스룸이 실제로 내용적 다양성 등 저널리즘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가, 그리고 뉴스룸 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가를 다룬다. 7장과 8장은 한국에서 뉴스룸 다양성을 진단하고, 뉴스룸 다양성을 위해 공영방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안한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