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인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 100
총신대학교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월간 창조문예」 신인작가상, 「월간 아동문학」 신인상으로 등단했으며, 1993년부터 독서 운동과 독서 지도사 양성을 통해 책을 사랑하는 독자들을 섬기고 있다. 「빛과 소금」, 「목회와 신학」, 「국민일보」, 「유럽 크리스천신문」, 「월간 신앙세계」, 「주간 기독교」, 「월간 목회」, 「월간 교사의 벗」, 「월간 워십리더」의 서평 필자로, 「월간 생명의 삶」의 역자로 활동했다. 독서 운동을 방송 매체로 확대하여 극동방송에서 ‘신앙서적 길라잡이’ 프로그램의 진행자로도 활약했고, CTS 라디오 JOY ‘북 콘서트’에서 신간을 소개했다.
국민은행 ‘동화는 내 친구’ 독후감 공모 심사위원(2010~2012년), 극동방송 독후감공모 심사위원장(2010년), 극동방송 생활간증공모 심사위원장(2010년), 한국기독교출판문화상 심사위원(2007~2012년, 2014~2015년)으로 위촉된 바 있다. 현재 총신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독서 지도사 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바울의교회 글향기도서관 담당목사로 섬기고 있으며, 한국교회독서문화연구회(www.bookleader.org) 대표이다.
저서로 『기독교인의 서재』, 『고전의 숲에서 하나님을 만나다』, 『목회자 독서법』, 『우리아이 영성을 키우는 책읽기』, 『예수께 인문을 묻다』, 『나를 단련하는 책읽기』, 『독서가 미래를 결정한다』 등이 있고, 역서로는 『교회사 핸드북』, 『기독교교육학』,『새로운 종교개혁 이야기』, 『흐트러짐』등이 있다.
프롤로그 _ 4
Chapter 1 하나님을 더 깊이 알고 싶을 때
1. 하나님, 이런 나를 사랑하시나요? : 《나를 이처럼 사랑하사》 _ 20
2. 내 영혼이 그분의 정원이 되기를 ! : 《물 댄 동산 같은 내 영혼》 _ 24
3. 당신은 왜 기도하기를 주저하는가? : 《기도를 가르쳐 드립니다》 _ 28
4. 하나님을 사랑하는 새로운 길 : 《래리 크랩의 네 가장 소중한 것을 버려라》 _ 32
5. 기도하지 못할 정도로 바쁜 삶은 없다 : 《너무 바빠서 기도합니다》 _ 36
6. 주님처럼 기도하는 법을 가르쳐 주세요 : 《주여, 기도를 가르쳐 주소서》 _ 40
7. 기독교 교리가 어렵게 느껴집니까? : 《당신은 무엇을 믿는가》 _ 44
8. 묵상의 세계를 배우고 실천하고 싶은가? : 《묵상의 여정》 _ 48
9. 어떤 인생의 카드를 집어 들었는가? : 《변명하지 않는 그리스도인》 _ 52
10. 영성이란 무엇인가? : 《거룩한 몸부림》 _ 57
11. 내 색깔에 맞는 영성은 무엇일까? : 《영성에도 색깔이 있다》 _ 61
12. 기독교 고전의 숲에서 만나는 영적 선배들의 가르침 : 《뿌리 깊은 영성은 흔들리지 않는다》 _ 66
13. 영적인 싸움에서 승리를 거두라 ! : 《하나님 나라 최전선에 서라》 _ 70
14. 어떻게 일상 속에서 기도할 수 있는가? : 《일상 기도》 _ 74
15. 당신은 하나님을 간절하게 배고파하고 있는가? : 《하나님께 굶주린 예배자》 _ 78
Chapter 2 하나님이 사랑하시는 나를 사랑하기
16. 그리스도 안에서 행복한 하나님의 자녀로 ! : 《하나님이 만드신 참 좋은 나》 _ 84
17. 당신은 이미 선하고 놀라운 존재이다 : 《내면의 혁명》 _ 88
18. 내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 : 《소명》 _ 92
19. 당신은 현실에 막혀 날개를 접었는가? : 《닉 부이치치의 플라잉》 _ 96
20. 인생의 봄, 여름, 가을, 겨울에 담긴 하나님의 섭리 : 《삶의 계절》 _ 100
21. 하나님처럼 우리도 인생이라는 모험을 즐기자 ! : 《와일드 하트》 _ 104
22. 당신은 언제 마지막으로 열정적인 하루를 살았는가? : 《인생 수업》 _ 108
23. 지금 보고, 듣고, 느끼는 모든 것들이 얼마나 큰 축복인지 : 《사흘만 볼 수 있다면》 _ 112
24. 당신 삶을 바꾸는 위대한 조언을 듣고 있는가? : 《폰더 씨의 위대한 하루》 _ 115
25. 바꾸고 싶은 습관이 있습니까? : 《습관과 영적 성숙》 _ 119
26. 재능보다 더 중요한 습관의 힘 : 《습관의 힘》 _ 123
27. 당신의 아침은 피곤하고 힘겨운가, 활기차고 즐거운가? : 《인생을 두 배로 사는 아침형 인간》 _ 127
28. 자연이 차려 주는 식탁을 차리자 : 《헬렌 니어링의 소박한 밥상》 _ 131
29. 누가 삶을 낭비하는가? : 《삶을 낭비하지 마라》 _ 135
30. 성숙한 인격의 자질은 무엇인가? : 《아무도 보는 이 없을 때 당신은 누구인가》 _ 139
31. 더 깊은 삶의 단계로 나아가기 : 《중년 리모델링》 _ 143
Chapter 3 예수님, 당신은 내게 누구십니까?
32. 다원주의 사회의 도전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 《문화 전쟁》 _ 150
33. 왜 십자가가 기독교 신앙의 중심에 놓여 있는가? : 《십자가란 무엇인가》 _ 154
34. 예수님을 따른다는 것은 정말로 무엇을 의미할까? : 《원.라이프》 _ 158
35. 예수님, 사랑할 수 있는 힘을 제게 주세요 ! : 《우리 사이를 거닐던 사랑》 _ 161
36. 주님의 사랑이 있다면 어디든 나는 두렵지 않네 : 《낮은 데로 임하소서, 그 이후》 _ 165
37. 감사란 무엇인가? : 《맥스 루케이도 감사》 _ 169
38. 당신은 성경을 공부하고 있습니까? : 《성경을 아는 지식》 _ 173
39. 우리 영혼의 여정에는 믿음의 길동무가 필요하다 : 《내 평생에 가는 길》 _ 177
40. 당신은 무엇을 위해 실력을 기르는가? : 《도전과 기회 - 3C 혁명》 _ 181
41. 참된 회심의 증거는 무엇인가? : 《회심》 _ 185
42. 진정 남자다운 남자는 어디에 있는가? : 《아담의 침묵》 _ 189
43. 살며, 사랑하며, 가르치며, 배우며 : 《가르침과 배움의 영성》 _ 193
44. 복음에 숨겨진 비범하면서도 급진적인 메시지를 아는가? : 《세상을 뒤집는 기독교》 _ 197
45. 당신은 구원의 확신을 누리는 그리스도인인가? : 《지상에서 누리는 천국》 _ 201
46. 복음과 문화가 충동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가? : 《카운터 컬쳐》 _ 205
Chapter 4 인간관계가 어렵다고 느껴질 때
47. 나의 마음과 당신의 마음이 이어질 수 있다면 : 《마음과 마음이 이어질 때》 _ 212
48. 우리는 과연 아무런 방어 없이 사람을 대할 수 있을까? : 《친밀함》 _ 217
49. 당신의 사랑의 언어는 무엇입니까? : 《하나님이 쓰시는 사랑의 언어》 _ 221
50. 어떻게 하면 좋은 사람을 사귈 수 있을까? : 《나는 안전한 사람인가》 _ 225
51. 따뜻한 우정과 뛰어난 통찰이 빛나는 54통의 편지 : 《교회에 첫발을 디딘 내 친구에게》 _ 229
52. 최고의 전도 지침서, 아니 그 이상 : 《포스트모던 보이 교회로 돌아오다》 _ 233
53. 세일즈 같은 전도가 아닌 영적인 친구를 사귀라 : 《나는 준비된 전도자》 _ 237
54. 부드러움으로 사람을 끌어당기고 이끌라 : 《따뜻한 카리스마》 _ 241
55. 존경받는 리더가 되는 길 : 《지도력의 원칙》 _ 246
Chapter 5 지적 성장과 영적 성숙을 위한 책 읽기
56. 인간 내면의 선과 악의 갈등을 그린 기독교 고전 : 《거룩한 전쟁》 _ 252
57. 기독교인이라면 이렇게 책을 읽으라 : 《영적 성장으로 가는 즐거운 책 읽기》 _ 256
58. 좋은 책 속에 담긴 좋은 생각을 유통시키라 : 《책 읽기의 즐거운 혁명》 _ 260
59. 인격 성숙을 위해서는 어떻게 책을 읽어야 할까? : 《책 읽는 방법을 바꾸면 인생이 바뀐다》 _ 264
60. 미처 몰랐던 공부하는 즐거움 : 《공부의 즐거움》 _ 268
61. 인간이 고통받을 때 하나님은 어디에 계시는가? : 《침묵》 _ 272
62. 가장 비참한 삶에서 가장 존경받는 삶으로 올라선 사람 : 《땅콩 박사》 _ 276 63. 나의 삶은 어떤 숫자로, 어떤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 《박사가 사랑한 수식》 _ 280
64. 20만 번 이상의 깜박임으로 써 내려간 삶의 무한한 소중함 : 《잠수복과 나비》 _ 283
65. 첫 200미터는 내 힘으로, 나머지 200미터는 주님의 도우심으로 : 《불의 전차, 그리고 그 후》 _ 287
66. 당신은 영적으로 성장하기 원하는가? : 《그리스도인은 어떻게 성장하는가》 _ 291
67. 단 한순간도 시선을 떼지 않고 동행하시는 하나님을 경험하라 : 《갈대 상자》 _ 295
68. 만화적 상상력으로 뒤집어 보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신선한 관점 : 《나무》 _ 299
69. 인간 비극에 대한 싱싱한 작가적 감각 : 《로미오와 줄리엣》 _ 303
70. 음모, 배신, 복수……. 그 뒤에 남는 것은? : 《몬테크리스토 백작》 _ 307
71. 당신은 어떤 미래를 꿈꾸는가? : 《하나님의 도시》 _ 310
Chapter 6 하나님이 바라시는 가정
72. 갈등은 관계가 깊어지는 데 필연적인 과정이다 : 《부부갈등 해소전략 4》 _ 316
73. 남자와 여자가 서로를 있는 그대로 사랑하기 위해서는 :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_ 319
74. 그리스도인 가정을 천국으로 만들어 가는 비결 : 《가정사역 스타트》 _ 323
75. 자녀 양육은 숙제가 아니라 놀라운 축복이다 ! : 《부모 학교》 _ 327
76. 크리스천 부모들이여, 자녀에게 성경적으로 사고하는 법을 가르치라 : 《가정아, 믿음의 심장이 되어라》 _ 330
77. 자녀의 인생을 축복하는 50가지 가정 교육법 : 《자녀의 삶에 하나님을 더하라》 _ 334
78. 자녀를 천재로 만드는 유태인 가정 교육에서 배우라 : 《천재를 만드는 유태인의 가정교육법》 _ 338
79. 하나님이 부모를 공경하라고 명령하신 이유 : 《성경적 효 입문》 _ 342
Chapter 7 신은 있는가?
80. 순례의 신학이 전하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 《길 위에서 하나님을 만나다》 _ 348
81. 신은 만들어지지 않았다, 스스로 존재할 뿐 : 《스스로 있는 신》 _ 352
82. 어떤 의미에서 교회가 하나님의 형상인가? : 《삼위일체와 교회》 _ 356
83. 내 입맛에 맞는 교회만 찾고 있는가? : 《이것이 교회다》 _ 360
84. 교회의 본질은 무엇인가? : 《교회란 무엇인가?》 _ 364
85. 왜 아직도 정의를 말해야 하는가? : 《팀 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 _ 368
86. 성경으로 풀어 읽는 한국 초대 교회사 : 《한국 교회 처음 이야기》 _ 372
87. 깨끗한 부자가 되는 것이 생의 목표가 될 수 없다 ! : 《바늘귀를 통과한 부자》 _ 376
88. 복음주의의 사회적 양심을 깨우라 : 《가난한 시대를 사는 부유한 그리스도인》 _ 380
89. 참된 지식은 행동, 사랑, 인격 : 《기독교 세계관으로 가르치기》 _ 384
90.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하여 변화를 받으라 : 《기독교 세계관과 현대 사상》 _ 388
91. 그리스도인이 문학 작품을 읽는 일은 왜 중요한가? : 《신앙의 눈으로 본 문학》 _ 392
92. 한평생을 돌아보면서 당신은 하나님께 어떤 말을 하고 싶은가? : 《나의 감사》 _ 396
93. 주 위해 살다가 주 위해 죽는다면 이보다 더한 성공이 있겠는가? : 《사랑의 원자탄》 _ 400
94. 주님, 내 영혼을 받으소서 : 《순교자 문준경 전도사의 신앙과 삶》 _ 404
95. 나의 조국은 학문 공화국과 그리스도 교회이다 : 《에라스무스》 _ 408
96. 미국인의 눈으로 바라본 일본, 그리고 일본인 : 《국화와 칼》 _ 412
97. 기독교인 독자로서 문학 작품 읽는 법 : 《기독교와 문학》 _ 416
98. 당신은 하나님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 《하나님의 모략》 _ 420
99. 하나님 앞에서 우리 모두는 동등하다 : 《독일 기독교 귀족에게 고함》 _ 423
100. 무신론자에서 무신론자를 위한 사도로 거듭나다 ! : 《작은 그리스도 C. S. 루이스》 _ 427
송광택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