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의 정체성
동방의 등불을 넘어 세계의 등불이 되자
우리 고유의 국민정신과 소중한 가치를 깨우치고, 대한민국을 진정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게 하고자 하는 바람으로 쓰여진 책이다. 현재 한국문화안보연구원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는 저자들의 집필 덕분에, 보다 전문적이면서도 상세한 설명이 특징적이다. 우리나라의 국가안보 뿐만 아니라 문화 안보를 통해 문화적 가치를 더욱 높이고 일본, 중국 등 주변국들과 북한의 문화안보에 대해서도 비교 서술하고 있다. 또한 홍익인간 정신, 의병 정신 등 지금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정신적 근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문화의 가치와 보완할 점을 고찰하여, 더 나은 문화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설파하고 있다.
인사말
들어가는말
1부 문화안보의 이론적 고찰
1. 국가안보와 문화안보
2. 문화와 문화안보
3. 문화안보의 순기능과 역기능
2부 한반도 주변국 및 북한의 문화안보
1. 미 국
2. 일 본
3. 중 국
4. 구소련
5. 북 한
3부 한국의 문화안보
1. 대한민국 헌법에 반영된 문화안보 정신
2. 한국문화안보의 발전
3. 한국의 문화안보 정책 평가
4부 유지·발전시킬 한국의 선진문화
1. 국민정신의 원천, 홍익인간 정신
2. 국가 위기 시 발현된 의병정신
3. 다종교 간 평화유지
4. 고도의 교육열
5. 수준 높은 창의력
6. 아름다운 미풍양속
7. 못 말리는 신바람
8. 한국문화 장점이 갖는 함의
5부 훼손되어 개선시킬 한국의 낙후문화
1. 변화와 개혁에 인색
2. 훼손된 호국사상
3. 역사왜곡
4. 심화된 구조적 부패
5. 골이 깊은 사회갈등
6. 한국문화 단점이 갖는 함의
나가는 말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