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공유의 주거학
현재 그리고 미래의 주생활은 지구환경과의 공생하는 삶을 거부할 수 없으며 전 지구인이 함께 공감하고 공유하는 주생활을 지향한다. 즉, 우리가 공유하고자 하는 주거가치는 지속가능성을 지향하고, 가까운 이웃 그리고 반대편 지역을 돌아보며 배려하는 모두가 건강하고 행복한 공생의 주거이다.
이 책은 이러한 가치공유를 목표로, 주거학의 기본서로서 학문적 범위를 모두 포괄하는 목차를 구성하고, 각 장별로 기본이론을 충실히 담고 최근의 이슈 및 앞으로의 방향을 다루고자, 크게 3부로 구성하였다.
1부는 ‘주거사회·문화’라는 주제로, 주거환경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담고자 하였다. 가족의 삶을 담는 주거의 의미와 개념, 다양한 주거문화, 한국과 서양의 주거사 그리고 주거환경에서의 환경심리행태를 기술하였다. 2부는 ‘주거환경·기술’이라는 주제로, 인간의 주거활동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거주자도 건강하고 쾌적하게 하는 환경과 건강한 거주환경의 지속가능성을 지향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한 인간공학과 유니버설디자인, 주택의 물리적 환경 조성을 위한 주택구조 및 재료, 실내환경, 주택설비와 스마트하우징 그리고 친환경주거와 그린리모델링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3부는 ‘주거계획·관리’라는 주제로, 1부와 2부에서 다룬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로 주거환경을 계획하고 디자인하고 관리하기 위한 내용을 다룬다. 가족의 요구와 건강을 우선하고 사회환경 및 공동체 생활을 반영하며, 환경적으로 균형적인 발전을 추구하는 주거환경 창출을 목표로 한다. 주택 및 주거단지 계획, 주거공간의 실내디자인, 주거복지와 정책 그리고 주거관리와 서비스의 장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은 대학의 교양수업, 주거환경학과의 전공기초 교과목, 가정교육과의 전공 교과목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 독자들이 미래지향적 가치를 추구하는 현대 주거의 방향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머리말
● PART 1 주거사회·문화
§ CHAPTER 1 가족과 주거 (이민아)
1. 주거의 이해
2. 가족의 특성과 주거
§ CHAPTER 2 주거와 문화 (주수언)
1. 주거문화의 이해
2. 주거문화의 형성 요인
3. 공동체를 위한 주거 트렌드
§ CHAPTER 3 주거사 (지은영)
1. 한국 주거사
2. 서양 주거사
§ CHAPTER 4 주거환경심리 (박정아)
1. 환경심리와 주거환경디자인
2.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과정
3. 환경과 인간의 사회적 행태의 이해를 위한 환경심리개념
● PART 2 주거환경·기술
§ CHAPTER 5 인간공학과 유니버설디자인 (유성은)
1. 인간공학의 이해
2. 유니버설디자인의 이해
3. 인간공학과 유니버설디자인의 주거공간 적용
§ CHAPTER 6 주택구조와 실내재료 (이종민)
1. 주택의 구조
2. 주택의 실내재료
§ CHAPTER 7 실내환경 (유복희)
1. 열환경
2. 공기환경
3. 빛환경
4. 음환경
§ CHAPTER 8 주택설비와 스마트하우징 (김진희)
1. 주택설비 개론
2. 급배수위생설비
3. 냉난방 및 환기설비
4. 전기설비
5. 가스 및 소화설비
6. 스마트하우징
§ CHAPTER 9 친환경주거와 그린리모델링 (최윤정)
1. 친환경주거의 필요성과 개념
2. 단독주택: 패시브주택과 제로에너지주택으로
3. 공동주거단지: 녹색건축인증단지로
4. 기존주거: 그린리모델링으로
● PART 3 주거계획·관리
§ CHAPTER 주택·주거단지의 계획 (변나향)
1. 주택·주거단지 계획의 원리
2. 커뮤니티계획 이론
3. 주거단지 계획요소
§ CHAPTER 주거공간의 실내디자인 (박희진)
1. 실내디자인 요소와 원리
2. 실내공간 기본요소
3. 실내디자인 스타일
4. 실내디자인 프로세스
§ CHAPTER 주거복지와 정책 (이현정)
1. 주택시장과 주거정책
2. 주거권과 주거복지
3. 주거복지정책
4. 특수계층의 주거
§ CHAPTER 주거관리와 서비스 (채혜원)
1. 주거관리의 이해
2. 공동주택의 관리
3. 임대주택의 관리
4. 서비스산업으로서의 주거관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최윤정 외 저자가 집필한 등록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