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AI시대 MZ세대를 위한 교육학개론

AI시대 MZ세대를 위한 교육학개론

저자
손승남 외
출판사
창지사
출판일
2024-06-25
등록일
2024-07-31
파일포맷
PDF
파일크기
0
공급사
누리미디어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교육학은 왜 필요한가?
교육학은 무엇보다도 교육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다. 교육은 다양한 차원과 영향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잡한 현상의 하나이다. 교육학개론은 이러한 복잡성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도구를 제공하여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깊이 있는 통찰력을 줄 수 있다.

교육학을 왜 연구해야 하는가?
그렇다면 우리가 교육학을 연구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에 대해서도 다양한 답변을 할 수 있다. 가장 먼저 생각해 볼 수 있는 부분은 교육과 사회 발전 및 진보가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다. 교육은 사회의 발전과 진보를 이루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교육학 연구를 통해 우리는 효과적이고 혁신적인 교육 방법과 전략을 개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회의 지식수준과 개인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교육학의 역사
학문으로서 교육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 온 중요한 분야이다. 고대 그리스와 로마 시대부터 교육에 대한 이해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가 교육의 중심 역할을 담당하였다. 교육학은 근대 시기에 교육 체계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였고, 교육의 목적과 방법에 대한 다양한 이론과 학파가 형성 되었다. 교육학은 18세기 중엽 칸트의 후계자였던 헤르바르트(J. F. Herbart)에 의해 독립된 학문으로 정립되었다. 그는 이전의 루소와 페스탈로치와 같은 교육 사상가로부터 많은 영감을 얻었고, 후에 교육학을 체계적으로 완성한 미국의 듀이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교육학 이론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교육에 대한 철학적인 관점을 제시했다. 플라톤은 이상적인 교육 체계를 제시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경험과 실제를 중시하는 교육 방법을 주장했다.
중세가 신 중심의 사회로 전환되면서 교회 주도의 성경과 복음이 교육의 중심을 차지하였다. 그나마 중세 때 기사도 교육과 도제 교육이 남아 있었고, 대학이 최초로 설립되어 오늘날까지 명맥을 이어 오고 있는 점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18세기 근대 유럽에서는 개인의 자율성과 사회적인 평등성을 실현하는 데에 교육의 초점을 맞추는 이론들이 등장했다.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과 요한 페스탈로치의 직관교육은 이 시대의 교육적 흐름을 단적으로 보여 준다.
20세기 초반에는 사회적인 행동과 집단적인 상호작용에 주목하는 이론들이 등장했다. 파블로프, 스키너, 베이트슨 등이 그러한 경향을 잘 보여 준다. 20세기 후반에는 브루너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등장하여, 개인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개인의 필요와 능력을 고려하는 접근을 제안하고 있다.
교육학 이론도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부흥과 쇠퇴를 거듭해 왔다. 인간과 세계를 설명하는 다양한 시각과 접근법은 인간의 교육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공헌을 해 왔다.
최근 들어 컴퓨터, 인터넷, 메타버스, 인공지능 등이 등장하면서 문명은 진보를 거듭하고 있다.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에 교육학이 앞으로 어떤 모습을 지니게 될지 궁금하다. 다른 한편, 기후 위기로 지구의 장래가 그리 밝지 않다. 기후 위기 시대에 교육학이 생태학적 전환에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도 우리 모두 고민해야 할 과제가 되었다. 첨단 인공지능과 기후 위기의 파고를 넘어서는 데 교육학이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이 책은 누구에게 도움이 될 것인가?
이 책은 교직에 종사하고자 준비하는 사람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대학의 예비교사들에게 교육학의 기초 지식을 전해 줄 수 있다. 사범대학과 교육대학에 갓 입학한 학생들에게 최초의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나중에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교육과 교육학에 대한 큰 그림을 제공하여 교육학 논술에 도움을 줄 것이다.

-알기 쉽게 풀어쓴 이 책은 그 점에서 교육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이나 교사들에게 희소식이 될 수 있다. 이 책은 고등학생 수준에서도 술술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평이하게 기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에게도 이 책은 도움을 줄 것이다. 교육전문직등 교육공무원 시험에서 교육학 비중이 높은 편이다. 방대한 교육학 지식과 체계를 그림과 이미지를 가미하여 잘 정리한 이 책은 이들에게도 좋은 벗이 될 것이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