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향화ㆍ수직 왜인 연구
머리말
서 론
제 1 장 向化倭人의 발생배경과 유형
1. 向化ㆍ向化人의 개념과 범위
2. 向化倭人의 발생배경
3. 향화왜인의 유형
1) 降倭
2) 拘留倭人과 포로
3) 스스로 향화하거나 도망쳐 온 자
4) 송환된 피로인을 따라 온 자
5) 倭僧
6) 대마도주의 使送倭人
7) 三浦 恒居倭人 및 기타
4. 向化 受職倭人
제 2 장 向化倭人에 대한 정책과 처우
1. 向化倭人에 대한 정책
1) 向化倭人의 수용과 통제
2) 向化倭人의 歸島 및 通交
2. 向化倭人에 대한 처우
1) 식량ㆍ의복ㆍ토지ㆍ가옥의 하사
2) 田租와 賦役ㆍ軍役의 면제
3) 賜姓名ㆍ賜鄕
4) 月料와 馬料의 지급
5) 結婚과 娶妻
6) 奴婢의 하사
7) 科田의 사급
8) 科擧의 응시 허용 및 取才, 遞兒職
9) 致祭ㆍ賻儀
10) 범법자의 처리
제 3 장 向化倭人의 역할과 영향
1. 倭寇 토벌에 從軍
2. 倭寇의 동정 및 일본의 정세보고
3. 對日使節의 왕래 및 護送
4. 三浦倭人의 총괄 및 刷還
5. 漂流人의 쇄환
6. 문물의 전수
제 4 장 일본거주 受職倭人
1. 授職制度의 실시배경과 변천
2. 受職倭人의 구성
1) 倭寇의 두목과 그의 일족
2) 被擄ㆍ漂流人의 송환자
3) 賊倭의 捕送者
4) 통교상의 유공자
5) 島主의 管下人
3. 受職倭人의 대우
1) 정치적 대우
2) 경제적 대우
제 5 장 임진왜란기의 降倭
1. 降倭의 투항원인과 투항시기
1) 투항원인
2) 투항시기
2. 降倭의 유치와 처리
1) 降倭의 유치
2) 항왜의 투항 실태
3) 항왜의 처리
3. 降倭의 활용 및 역할
1) 일본군과의 전투에 참전
2) 賊情의 탐색 및 일본군의 초유
3) 기술의 전수
4) 오랑캐의 방어 및 토벌
4. 임진왜란기의 受職倭人
제 6 장 임진왜란 이후의 降倭와 受職倭人
1. 임진왜란 이후의 降倭
1) 항왜의 처리
2) 항왜의 생활
2. 임진왜란 이후의 受職倭人
3. 向化倭人과 受職倭人의 단절
결 론
부록ㆍ受職倭人의 告身 일람표
參考文獻
저자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