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 대화를 위한 교양인의 현대 철학
이 책은 현대 철학을 당대의 역사와 예술이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면서, 대립과 상호 작용을 함께했던 20세기 아방가르드 철학과 사회주의 철학을 한데 묶어 난해하기만 한 현대 철학사상사를 일목요연하게 기술했다. 특히 현대 철학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사회주의 철학은 물,론 모더니즘 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철학이 지니는 개별적이고도 서로 연관적인 의미와 역할, 예술과의 관계 등을 20인의 철학자를 통해 이해하기 쉽게 풀어 놓았다.
이병창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수학하고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에서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정신 개념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동아대학교 철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2011년 2월 명예퇴직 이후 현대사상사연구소 소장으로서 헤겔 철학과 정신분석학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문화 및 영화 철학을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반가워요 베리만 감독님》 《지젝 라캉 영화》 《청년이 묻고 철학자가 답하다》 《우리가 몰랐던 마르크스》 등이 있다. 헤겔의 《정신현상학》과 관련한 책으로는 《영혼의 길을 모순에게 묻다》(헤겔의 《정신현상학》 서문 주해), 《불행한 의식을 넘어》(헤겔의 《정신현상학》의 자기의식 장 주해), 《정신의 오디세이》(자유의지의 개념)가 있다. 옮긴 책으로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그리스 문학 연구》, 마르크스·엥겔스의 《독일 이데올로기》가 있다.
들어가는 말
제1장 20세기 초의 모더니즘
o 파리 코뮌과 새로운 세기
o 니체와 유럽 가치의 전도
o 프루동과 아나코생디칼리즘
o 마르크스와 역사적 유물론
o 레닌과 사회주의 국가
o 19세기 초의 모더니즘 문화
o 베르그송과 이미지 기억
o 하이데거와 존재의 세계
제2장 1960년대의 아방가르드 사상
o 1960년대의 인간 소외
o 그람시와 문화적 헤게모니
o 루카치와 의식의 물화
o 알튀세르와 마르크스주의
o 아방가르드와 예술의 실험
o 사르트르와 실존적 자유
o 메를로퐁티와 타자와의 연대
o 아도르노와 총체적으로 관리되는 사회
o 마르쿠제와 에로스의 해방
o 베냐민의 기계 복제 시대의 예술
제3장 1980년대의 포스트모더니즘
o 1960년대의 저항 운동
o 포스트모더니즘
o 푸코와 관료적 권력
o 데리다와 해체주의
o 보드리야르와 현대인의 욕망
제4장 20세기 말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o 들뢰즈와 초월 사유
o 지젝과 환상 가로지르기
o 아감벤과 호모 사케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