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경제학 나쁜 경제학
최저임금, 불평등, 빈곤, 그리고 의료시스템까지
경제학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앵거스 디턴 신작
· 2023〈파이낸셜타임스〉올해의 책
“내가 이민을 온 1983년 이후 미국은 더 어두운 사회가 되었다.” 앵거스 디턴은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경제학자이자 동시에 영국에서 나고 자라 미국으로 이주한 이민자로서, 미국 사회의 면면을 들여다본다. 그리고 미국이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땅에서 ‘불평등의 땅’이 된 데에 경제학과 경제학자가 어떤 과오를 저질렀는지 지적한다. 나아가 경제학과 경제학자가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묻는데, 이는 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이기도 하다.
《좋은 경제학 나쁜 경제학》은 미국 내 이슈와 그와 관련해 벌어진 경제학계·정치계 내 논쟁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풀어가지만, 저자가 던지는 메시지는 미국에 한정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유의미하다. 1990년대 미국에서 최저임금을 두고 벌어진 논쟁과 그 영향, 자신의 수술 경험을 통해서 바라본 미국 의료 시스템의 폐해, 빈곤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한 논쟁, 소득과 자산 그리고 건강 불평등, 경제학계가 돌아가는 방식, 노벨상 및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와 얽힌 이야기 등이다. 1945년생 노학자의 학문적 여정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학술적 성격이 강했던 이전의 책과 달리 쉽게 쓰인 만큼, 경제학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아도 된다. 〈파이낸셜타임스〉에서 ‘올해의 책’으로 선정했다. 원제는 ‘Economics In America’다.
지은이 : 앵거스 디턴(Angus Deaton)
소비, 빈곤, 복지에 대한 연구로 공로를 인정받아20 15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현재는 프린스턴대학교 공공국제정책대학원 명예교수다. 프린스턴대학교로 자리를 옮기기 전에는 브리스틀대학교 계량경제학과 교수와 케임브리지대학교 응용경제학과 연구원을 지냈다.
지금까지 200편에 가까운 전문 저널 논문을 발표했으 며 여섯 권의 책을 썼다. 특히 그중에서 2013년에 출간한 《위대한 탈출》로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또 다른 대표 저작으로는 배우자이자 프린스턴대학교 공공국제정책대학원 명예교수인 앤 케이스(Anne Case)와 함께 쓴 《절망의 죽음과 자본주의의 미래》가 있다.
옮긴이 : 안현실
서울대학교 객원교수로 공학전문대학원 기술경영 트랙의 강의 및 연구지도를 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카이스트에서 경영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통상산업부 장관자문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미국사무소장,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략기획실장을 역임한 후 한국경제신문 논설·전문위원 및 AI경제연구소장을 지냈다. 연세대학교 기술정책협동과정 객원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공학한림원 기술경영정책분과위원장, 바른 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연) 상임대표로도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부의기원》(공역)이 있다.
옮긴이 : 정성철
사단법인 원정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하와이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STEPI(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장,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전국경제인연회 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등 정부 및 민간부문의 과학기술 정책·전략에 대한 자문 활동을 하였다. 국제적으로는 OECD 과학기술정책위원회 부의장, 세계은행 컨설턴트, 사우디아라비아, 베트남 등 과학기술혁신정책 자문역을 거쳤다. 옮긴 책으로는 《부의 기원》(공역)이 있다.
서문
1장 프롤로그: 패스트푸드점과 최저임금
2장 미국의 건강보험, 그리고 의료시스템
3장 미국 안의 빈곤, 해외의 빈곤
4장 숫자와 통계의 정치학
5장 소득과 자산 불평등
6장 돈을 넘어선 불평등
7장 은퇴, 연금, 그리고 주식시장
8장 현장의 경제학자: 콘퍼런스와 학술지
9장 노벨상과 노벨상 수상자
10장 경제학자가 경제를 망쳤나
11장 에필로그: 경제 실패는 경제학의 실패인가
감사의 글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