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야 놀자 : 탐사에서 생산까지 궁금했던 이야기
이 책은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석유에 대한 기술적인 궁금증에 대해 풀어보고자 한다. 학생부터 호기심을 잃지 않은 어른들까지 폭넓은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경제, 정치, 여행서처럼 폭넓게 읽힐 수 있도록 편한 단어들을 사용하려 노력했으며, 의미에 혼선을 일으킬 수 있는 석유산업 용어에 대해서만 영문을 병행 표기하였다. 석유공학자로서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해 누구나 궁금증을 가지고 접할 수 있는 도서의 필요성을 느꼈고, 석유산업에 관해 그런 책을 쓰고 싶은 마음에 미력하나마 끝맺음을 할 수 있었다.
● 추천사
● 들어가며
● 서장 - 석유 경제의 주도권과 석유 자원
● 제1장 탐사: 석유는 어떻게 발견될까?
석유를 찾아서
시작은 생성부터
석유의 부존 조건
무얼 가지고 찾나
유망주 찾기
확인을 위한 시추
땅을 뚫는 시추기
어디까지 뚫을 수 있나
시추에서 만난 석유
시험 생산을 해보자!
생산시험이 주는 정보
시험을 했으니, 이젠 생산?
시험에 통과한 유정
얼마나 저장되어 있나?
시작은 원시부존량에서
자원량은 얼마나 정확할까?
자원량에도 레벨이 있다
매장량이라고 다 똑같지 않다
매장량은 곧 기업의 자산가치
● 제2장 개발: 땅속 석유를 캐보자
어떻게 개발할까?
해상이냐? 육상이냐?
산유국 정부의 요구사항
무엇이 필요한가?
구체화를 위한 세부검토
우리도 개발한다
투자자를 유치해 보자
경제성이 되는 투자
● 제3장 생산: 유정을 뚫어 석유를 뽑아내자
땅속에 꽂는 또 다른 빨대
다 똑같지만 않은 땅속의 환경들
생산량을 높이기 위한 장비
메뚜기를 찾아서
스마트 생산
● 제4장 회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노력
더 많이, 더 빠르게, 더 싸게
물이 석유로 바뀌는 마법
조금 더 많이
싹싹 긁어보자
친환경적인 회수
● 제5장 발전: 석유개발에 신기술을 입히다
시뮬레이션하자
모델이 멋지다
인공지능(AI)과 함께
석유를 찾는 딥러닝
기름 묻은 손도 디지털 전환(DX)
언제 어디서나
● 제6장 미래: 석유 에너지의 역할
탄소중립, 2050
에너지 시장의 변화
끝나지 않을 석유 자원
● 부록 - 에피소드: 현장에서 들려주는 이야기
하나 - 플랫폼
둘 - 몸집 키우기
셋 - 24시 365일
넷 - 땀방울
다섯 - 모닝콜
● 나가며
● 용어사전
● 색인
● 참고문헌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