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디지털 국가전략 : 한국경제 어디로 가야하나: IT정책가의 꿈과 희망
30여년간 IT정책을 담당하면서 짐검다리를 놓아온 저자는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경제의 핵심산업인 IT가 어떻게 혁신하고 나아가야 할지에 대한 고민은 담아 놓았다. 그 답으로 AI와 디지털정책 과제에 대한 10가지 대응전략을 제시하였다
● 책 머리에
● 1장 한국의 위기와 기회: 세계는 왜 한국IT를 보는가?
§ 세계는 지금: CES 참관기 - “혁신의 열정은 식을수 없습니다”
가자 CES로!
Korea is back!
메타버스의 잠재력
이제 인공지능은 필수
CES 모터쇼
코로나와 헬스
가상통화와 NFT
우주가 가까워졌다
농사가 바뀐다
스마트공장과 IoT
전통가전은 살아있다
에필로그
§ 경제개발과 기술정보사회
AI 디지털 국가론: ‘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인공지능(AI) 시대 생존전략
한국경제 어디로 가야 하나?
IT 기술 발전사
정보사회론
● 2장 한국 IT 디지털 역사: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났는가?
§ 경제성장과 IT
§ ’80년대 이전 /pc통신:국가기잔전산망
전자산업시기
PC통신: 국가기간전산망사업
§ 인터넷-초고속망 / 모바일:유비쿼터스
인터넷: 초고속망사업
모바일: 유비쿼터스 코리아
§ 스마트:AI지능정보사회
스마트: 지능정보사회 또는 제4차 산업혁명
이제는 AI 전성시대
● 3장 한국IT 디지털 현황과 도전과제: 무엇이 문제인가?
§ 거시경제와 IT산업
§ 기기장비/소프트웨어/소재부품
IT 장비/단말분야
SW분야
소재부품산업
§ 콘텐츠 / 정보통신서비스 등
정보통신 서비스분야
콘텐츠·게임
빅데이터/인공지능/블록체인
정보화/전자정부
사이버안전
§ 정보사회
정보사회: 혁신을 위한 법제도 개편
● 4장 한국AI 디지털 정책 방향: 그렇다면 답은 무엇인가?
§ 한국경제와 IT
§ IT기술 추세
§ 대응전략 1: AI 르네상스- DX/DPG
§ 대응전략 2: 전략기술 개발
§ 대응전략 3: 미래 핵심인재 양성/일자리 창출
§ 대응전략4: 스타트업 및 창업 활성화
§ 대응전략5: 조세/금융 개혁
§ 대응전략 6: 글로벌 시장 개척
§ 대응전략7: 공공조달 혁신
§ 대응전략 8: 기술기준/표준화 대응
§ 대응전략 9: 新방법론 - 혁신경영 Innovation Management
§ 대응전략 10: 법제도 개혁- 혁신적 정보사회
● 5장 맺는말: 시골소년의 꿈과 희망
§ 개천에서 용나다
§ 민주화시대
초고속망을 깔아서 IT 강국으로발돋움하다
§ 거위의 꿈, ‘정보통신부’가 생기다
미국과 OECD에서 세계를 배우다
제4차 산업혁명을 맞이하다
§ 대기업 우정사업본부를 경영하다
디지털 혁신가: 기업과 대학, 비영리조직
에필로그: 징검다리를 놓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