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통상론
2023년 초 평소에 디지털통상에 관심을 두었던 몇 명의 교수, 연구자 및 실무가들이 모여 디지털통상 분야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이해하는데 기본이 될 교재를 만들자는 의견을 나누었다. 이후 포함되어야 할 내용을 선정하고, 해당 부분을 어떻게 작성할지 토의하였으며, 수차례의 공식·비공식 회의를 진행하는 등 다양한 작업을 함께 해온 결과물이다.
● 일러두기
● 머리말
● 집필진 소개
● 약어표
● PART 01 디지털통상의 이해
§ 제1장 디지털통상이란?
1. 개관
2. 주요 국제기구의 디지털통상 개념과 범위
3. 주요 국가의 디지털통상에 대한 개념과 접근 방향
4. 결론
§ 제2장 디지털통상규범의 발전 및 현황
1. 서론
2. 디지털통상규범의 발전
3. 디지털통상규범의 최근 현황
4. 결론
● PART 02 디지털통상의 경제적·실증적 이해
§ 제3장 디지털통상 정책의 정량화
1. 디지털통상 협정
2. 디지털통상 정책
3. 디지털통상 인프라
§ 제4장 디지털무역 규모의 측정
1. 배경
2. 디지털무역 관련 주요 통계
3. 디지털무역 국제 통계 개발을 위한 OECD-WTO-IMF의 공동 연구
4. 평가 및 전망
§ 제5장 디지털통상 정책의 효과
1. 분석모형: 중력무역모형
2. 디지털무역 결정요인
3. 효과 추정 결과의 해석
4. 결론
● PART 03 무역원활화와 디지털통상
§ 제6장 전자거래의 원활화
1. 배경
2. UNCITRAL 모델법과 UN 협약
3. 쟁점별 국제 논의 동향 및 한국의 현황
4. 평가 및 전망
§ 제7장 디지털무역의 원활화
1. 디지털무역원활화 관련 주요 협정
2. 디지털무역원활화 관련 주요 규범
3. 평가 및 시사점
● PART 04 개방과 디지털통상
§ 제8장 디지털제품의 분류, 관세 및 비차별대우
1. 개관
2. 디지털통상에서의 분류 문제
3. 디지털무역과 관세
4. 디지털무역과 비차별대우
5. 디지털통상규범의 한계
§ 제9장 데이터의 이전
1. 개관
2. 주요 무역 협정에서의 데이터 이전 조항
3. 데이터 이전과 관련된 국내 법령 및 입법 동향
4. 데이터 이전과 관련된 해외 정책 동향과 시사점
§ 제10장 디지털통상과 경쟁
1. 디지털 시장에서의 경쟁 정책과 고려 요인
2. 주요국의 디지털 시장 규제 동향
3. 디지털통상 협정에서의 경쟁 관련 규범의
주요 내용과 전망
● PART 05 신뢰와 디지털통상
§ 제11장 개인정보 보호와 온라인 소비자 보호
1. 들어가며
2. 개인정보 보호
3. 온라인 소비자 보호
4. 나가며
§ 제12장 디지털 기술과 통상규범
1. 서론
2. 디지털무역 협정의 디지털기술 관련 조항
3. 결론
● PART 06 디지털통상과 정책적 재량
§ 제13장 디지털통상과 일반적 예외
1. 디지털통상규범과 규제 권한 확보
2. 일반적 예외규정
3. 디지털통상규범과 국가안보
4. 결론
§ 제14장 디지털통상과 분쟁해결절차
1. 서론
2. 디지털무역협정상 분쟁해결절차
3. 결론
● 부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