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물류의 이해
정치, 경제를 비롯 세계의 인류 삶의 모든 면이 급변하면서 21세기에 글로벌 경제시대에 국제물류가 더욱 중요시되며 크게 발전하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중국경제가 확대되는 가운데 한국기업은 중장기 경쟁력 및 포지셔닝에 대한 글로벌 전략이 요구되어야 하는 시점이다. 이와 관련하여 앞으로 우리나라가 주력해야 할 핵심사업분야로 동북아에서 물자, 자금, 정보의 흐름을 이어주는 교량역할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다.
기업의 세계화는 기업의 경쟁을 더욱 치열하게 하고 있고, 급변하는 소비자의 기호, 다양성, 그리고 지식의 확산 등은 기업의 시장 확대와 대응 전략을 매우 가변적이며 탄력적으로 만들고 있는 상황에서 국제물류는 글로벌 기업에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주요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서는 이와 같은 당위성에 직면하여 우리나라에 국제물류의 내용을 소개하고 중요성을 강조하여 국제물류의 개념적 측면, 경영적 측면, 제도적 측면, 실무적 측면, 정책적 측면 등의 내용으로 각 장별로 연계성 있는 주제들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제1장 세계화와 국제물류
제1절 물류의 개념과 전략
1. 물류의 개념
2. 물류전략
3. 물류의 정보체계
제2절 세계화와 세계화 기업
1. 기업의 세계화 현상
2. 글로벌 기업의 경영전략
3.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발전
4. 글로벌 로지스틱스의 특성
제3절 국제물류의 개념
1. 국제물류의 정의 및 기능
2. 국제물류의 환경
3. 국제물류의 중요성
4. 국제물류의 진전
5. 국제물류의 진전사례-유럽
제4절 국제물류의 체계
1. 국제물류의 체계
2. 국제물류의 형태
3. 수출기업의 유형
4. 수출입 대행업자의 활용
5. 국제물류의 서류처리(Documentation)
제2장 국제물류의 전략적 측면
제1절 국제물류의 목표
제2절 (국제)물류에 관한 이론모형과 연구동향
1. 개관
2. Leading Edge Logistics(1989)
3. Logistical Excellence(1992)
4. World Class Logistics(1995)
제3절 전문 물류업자의 경영전략
1. 전문 물류업자의 필요성
2. 전문 물류업자의 경영전략
3. 전문 물류업자의 경영사례
제4절 기업의 국제물류전략
1. 관리전략
2. 수송전략
3. 재고품전략(연기전략)
4. 포장전략
5. 정보시스템 활용전략
제5절 디지털 경제와 e-logistics
1. 디지털 경제
2. 디지털 경제시대의 산업과 기업
제6절 e-물류
1. 개념
2. 국내 사례
3. 외국 사례
4. 평가
제3장 국제물류와 해운, 항만, 항공운송
제1절 해운의 의의
1. 해운의 개관
2. 해운경영형태와 구조
3. 해운시장의 구조와 시황 예측
4. 세계 주요국의 해운력 비교
5. 해운시장에서의 주요 변화
제2절 세계의 주요 해운항로
1. 정기선항로
2. 부정기선항로
제3절 우리나라의 주요 해운항로
1. 정기컨테이너화물
2. 부정기 대량화물
제4절 해운기업의 국제물류마케팅(영업)전략
1. 해운선사의 물류서비스업 진출
2. 국적선사의 물류서비스 영업전략
3. 세계 해운업계의 e-business화 추세
제5절 국가의 해운정책
1. 국가 해운정책의 개요
2. 세계화의 진전과 해운정책의 변화
제6절 항만의 국제물류센터화 전략
1. 항만물류기지화의 이유
2. 외국 주요항만의 물류센터의 운영 사례
3. 주요지역 항만의 물류기지 여건 비교
4. 세계 주요 항만 및 배후물류단지
제7절 항공운송의 개념
1. 항공운송의 개념
2. 항공관련 국제조약
3. 항공화물운송장
4. 항공화물 운송업무
제4장 국제물류와 복합운송
제1절 복합운송의 개념
1. 복합운송의 정의와 특성
2. 컨테이너화와 복합운송
3. 국제복합운송에 관한 국제법규
제2절 복합운송인
1. 복합운송인의 정의와 기능
2. 복합운송인의 분류
제3절 프레이트 포워더(복합운송주선인)
1. 프레이트 포워더(운송주선인)의 개념
2. 프레이트 포워더(운송주선인)의 기능
3. 프레이트 포워더(운송주선인)의 복합운송인화
4. 프레이트 포워더와 무선박운송인(NVOCC)
5. 외국의 복합운송주선업제도
제4절 주요 국제복합운송경로
1. 해륙복합운송시스템
2. 해공복합운송시스템
제5절 우리나라의 복합운송 발전방향
1. 우리나라 복합운송주선업 영업현황
2. 국내 복합운송제도
3. 우리나라 복합운송 발전방향
제5장 우리나라의 동북아 국제물류 중심화전략
제1절 세계화와 국제물류
1. 경제활동의 세계화
2. 기업활동의 세계화
3. 국제물류관리의 세계화
제2절 주요 물류선진국의 국제물류전략
1. 싱가포르
2. 홍콩
3. 네덜란드
제3절 동북아의 국제물류체계
1. 동북아경제권의 성장과 역내 교역의 증가
2. 동북아 국제물류체계의 형성
제4절 우리나라의 국제물류체계
1. 우리나라 국제물류산업 현황과 문제점
제5절 우리나라의 국제물류전략
1. 정책과제 : 동북아 국제물류거점국가 건설
2. 정책의 문제점
3. 선진국 국제물류의 비전(Vision)과 내용
4. 우리나라 국제물류정책의 방향
5. 국제물류정책 집행조직의 효율성 제고
6. 동북아 국제물류중심(거점) 추진
7. 관세자유지역(자유무역지대)의 설치
제6절 남북통합물류체계 구축과 아시아 관통철도(TAR) 활용방안
1. 남북경협 및 물자교류 현황과 물류체계 현황
2. 남북수송체계 협력방안
3. TAR활용을 통한 복합운송 활성화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