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 서정소설의 이해
1930년대 후반처럼 세계와의 분열이 심화될수록 역설적으로 사회적 통합과 화합에 대한 열망이 더욱 강력해지는 반어적인 현상이 당대의 서정 소설 속에 포착되고 있다. 암울한 현실 속에서 삶의 이상을 펼칠 수 없었던 자아가 내면 속에 화합에 대한 열망을 펼쳐 보인 것이 당대의 서정 소설이라 할 수 있다. 그 열망은 자연이나 과거의 원초적 삶에 대한 동경이나 보편적인 인간애에 바탕을 둔 타자와의 소통, 화합으로 표현되었다. 당대 현실에서 찾아 볼 수 없는 가상의 유토피아 를 그려본 흔적은 유토피아를 상실한 현실을 환기하는 모더니즘 문학의 한 특성으로 주목할 수 있다.
- 머리말
제1부
I. 서 론
1. 문제 제기
2. 기존 연구사 검토
Ⅱ. 서사 문학의 서정성에 대한 원론적 고찰
1. 서정성과 서사성
2. 서정 소설의 개념과 양식적 특성
Ⅲ. 현대 서정 소설의 미학적 성격
1. 미적 자율성과 서정 소설
2. 서정적 아이러니와 미적 유토피아
3. 서정 소설의 발생 배경
4. 서구 문학 속의 서정 소설의 전통
5. 생태문학으로서의 서정 소설
6. 심리소설로서의 서정 소설
Ⅳ. 1930년대 소설의 서정적 인식
1. 1930년대 서정 소설의 문학적 성격
2. 1930년대 서정 소설의 발생론적 환경
제2부
Ⅰ. 이효석의 심미주의와 서정 소설
1. 이효석의 심미주의적 문학관
2. 「산」을 통해본 인간과 자연의 동화
Ⅱ. 이효석의 서정 소설과 생태적 상상력
1. 심미주의와 생태적 상상력
2. 서정 소설에 대한 기존 연구사의 검
3. 생태 문학으로서의 서정 소설
4. 「들」의 서사적 계열화의 해체와 리좀(rhizome)적 사유
5. 서정적 주인공과 생태적 상상력
6. 산문 언어의 해체와 미메시스의 언어
Ⅲ. 이효석의 서정 소설과 시적 상상력
1. 주인공과 원초적 세계의 화합
2. 반문명과 에너지로서의 성(性)
3. 주체의 내면의 붕괴와 시적 대상물
4. 의식 공간과 원초적 세계
5. 현실과 신화적 세계의 병치
6. 신화적 진리와 시적 상상력
7. 서정적 전망과 유토피아
Ⅳ. 반근대성과 주체의 소외
1. 반근대성의 이념과 상고주의
2. 자기 인식의 여로와 현실과의 갈등
3. 변두리적 인물과 갈등의 내면화
Ⅴ. 욕망의 억압과 서정적 투시
1. 궁핍한 현실과 소외
2. 서정적 주인공과 내면의 화합
3. 왜곡된 욕망과 자연으로부터의 소외
Ⅵ. 박태원 소설의 모더니티와 서정적 특성
1. 모더니즘의 이념적 배경과 서정 소설
2. 수동적인 지각자로서의 서정적 주인공
3. 소통에의 갈망과 타자와의 화합
4. 내성화된 인물과 심리적 갈등
Ⅶ. 1950년대 소설의 서정적 인식
1. 생명에 대한 외경과 전통적 가치의 재인식
2. 「소나기」와 「학」을 통해 본 서정적 인식
Ⅷ. 결론
- 참고 문헌
- 이효석 작품 연보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