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詩)교육과 문학의 현재성
이 책은 문학과 문학교육을 공부하면서 늘 내 속에 있었던 숙제를 제출한 것이다. 어쩌면 보이지 않는 것 만을 가르치려 했던 과거의 문학교육에 비해 현재의 문학교육은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 발전을 겪고 있다. 그 변화의 한가운데서 학교 현장과 학습자들의 문학적 능력과 체험을 현실화 할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은 분명 문학교육의 주체들, 특히 문학교육 연구자들의 몫이다. 그 중 하나가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시비가 여전히 쟁점으로 남아 있는 오늘, 문학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은 과연 가능하며 수준별 심화 학습은 이룰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이 책은 이런 고민의 결과이다.
머리말
제1부 문학교육의 이론 지평
1장 신비평의 이해와 새로운 모색
1. 신비평의 세례와 그 비판
2. 신비평의 이론적 지평
3. 신비평의 한국적 적용과 비판
4. 신비평의 교육과정
5. 신비평의 새로운 가능성을 위하여
2장 문학교육의 인류학적 탐색
1. 문학교육에서 민족지 읽기의 가능성
2. 소설 「탁류」와 민족지 요소
3.「탁류」의 일상을 통한 주제의 이해
4. 문학교육의 문화적 이해
3장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방향과 실제
1. 구성주의 인식의 방향
2. 구성주의 문학교육의 기본 원리
3. 구성주의 문학 수업의 방법
4. 구성주의의 현실화를 위하여
제2부 시교육의 현재
1장 시의 소통 구조와 학습자의 주체성
1. 시교육의 현실과 새로운 모색
2. 시적 주체와 대화의 의미
3. 시적 주체의 다양한 층위와 학습자의 위치
4. 담론의 내재적 발화와 학습자의 주체적 수용
5. 시교육에서 대화적 읽기의 효과
2장 대중매체의 교육적 수용과 은유 교육
1. 대중매체의 교육적 의미
2. 대중매체의 시교육적 활용
3. 대중매체를 통한 단계별 은유 교육
4. 시교육 학습전략이 모색
3장 최남선 시와 저널리즘의 문학교육적 의미
1. 서론
2. 근대 초기 저널리즘의 근대성과 「소년」지의 교육성
3. 최남선 시의 교육적 의미
4. 결론
4장 문학교육과 민족적 주체의 재인식
1. 문학교육의 이념과 민족적 주체성
2. 문학교육의 현실과 민족적 주체
3. 민족적 주체에 대한 재인식
4. 결론
5장 북한 서정시 교육의 현실적 의미
1. 북한 시의 교육적 의미
2. 서정을 통한 민족적 친화성의 고취
3. 생활체험의 서정적 순화
4. 서정적 활력과 생산력의 제고
5. 북한서정시의 문예 교양적 의미와 한계
부록1 임용고시 문학 문제에 대한 해석과 풀이
부록2 문학교육 및 문화비평 용어 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