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조선 불교 유신론

조선 불교 유신론

저자
한용운
출판사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일
2014-05-22
등록일
2014-12-2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이 책은 서구 문명의 도전이라는 시대 상황에서 낡은 전통의 틀에 안주하면서 정체된 불교를 어떻게 개혁할 것이며,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은 것이다.



한용운은 1, 2장에서, 불교는 미신이 아니라 종교적, 철학적 성질을 갖고 있으며, 불교가 표방하는 평등과 구세의 이념은 문명의 시대에 적합하다고 주장한다. 이어 3∼15장에서는 불교계의 구체적인 개혁 방안을 제시한다. 승려에 대한 교육, 사원의 위치, 주지 선거법 등을 논하는 한편, 염불당을 폐지하고 각종 소회를 철폐할 것, 의식을 간소화할 것 등을 주장한다.



이러한 개혁론의 내용은 문명론의 틀, 곧 미개(야만)?문명이라는 구도가 반영된 것이다. 미개?문명 인식의 연장에서 바라본 한용운의 불교계 비판은 적지 않은 문제점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전통적인 불교의 유산인 염불당을 폐지하자는 주장, 각종 소회를 철폐하자는 방안, 각종 의식을 간소화하자는 내용 등은 그것이 미신, 곧 미개한 종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일정한 의미는 있지만 결국 전통 불교를 미신이라는 시선에서 바라본다는 한계를 갖고 있다.



반대로 승려의 교육, 포교, 사원의 위치, 승니결혼론 등은 문명에 적합한 종교라는 방향을 반영한 개혁안이다. 교육과 참선 등에 대한 이해는 문명의 시각, 곧 이성과 근대적 인식이라는 시선에서 바라보는 것이다. 사원의 경제 활동 권장, 사원의 위치, 승려의 결혼 문제 등은 서구 근대문명론을 의식한 불교 근대화 노선이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