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사카구치 안고 단편집

사카구치 안고 단편집

저자
사카구치 안고
출판사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일
2018-08-16
등록일
2021-07-20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사카구치 안고의 출세작이자 대표작이며 전후의 출발을 장식한, 안고의 기념비적인 작품인 〈백치(白痴)〉는 1946년 ≪신조(新潮)≫ 6월호에 발표된 단편 소설이다. 안고가 살던 가마타(蒲田) 변두리에 있는 공장 단지 주변과 일본 영화사의 촉탁으로 있던 경험이 소재가 되었다. 요설체인 듯하면서도 3인칭 객관 묘사라는 독특한 문체로 전쟁의 참상과, 전쟁으로 인해 인간의 독창성과 의지가 사라져 동물과 등가로 전락해 버린 모습을 생동감 있게 묘사했다. 폐망해 가는 땅에서 남자와 여자가 타락해 가는 묘사를 통해 윤락 속에서 인간의 원점을 발견하는 것이 구원의 길이라는 메시지를 전한다는 점에서 〈타락론〉(≪신조≫ 4월호)의 윤락(淪落) 사상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올바르게 타락하는 길을 타락할 데까지 타락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구원해야 한다는 〈타락론〉의 주장이 소설의 마지막 장면과 잘 호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타락론〉은 전쟁 패망 후의 인간의 출발점을 추구한 선언서이고, 이 소설은 패전 직전 인간을 막다른 데까지 몰아넣고 바라본 작품이라는 점에서, 〈백치〉가 〈타락론〉의 소설화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안고가 ‘백치’라는 존재를 처음 만나게 된 것은 어린 시절이었다. 자전적인 단편 〈돌의 생각(石の思い)〉[≪빛(光)≫, 1946. 11)]에는 사촌 형네 집 하녀의 자식인 백치와 친하게 지내던 추억이 묘사되어 있다. 끝내는 집도 절도 없이 거지로 떠돌아다니다 정신 병원에서 숨을 거둔 ‘백치의 애달픔을 나 자신의 모습이라고 여’길 만큼 그 백치에 대한 인상은 각별했고, 가슴속에 새겨져 있었던 것이다.
백치 여자의 이미지가 소설로 처음 부각된 것은 〈남풍보(南風譜)〉(1938. 3)에서다. 불상과도 같은, 마물과도 같은, 성속(聖俗) 양의적인 이미지를 지닌 여자가 나오는데, 육욕덩어리인 〈백치〉의 사요를 미치광이 남자가 순례길에 만났다는 설정은 그런 이미지를 암시하는 작가의 의도일지도 모른다. 인도 철학을 공부한 만큼 인간과 신의 양면성을 지닌 힌두교의 크리슈나의 이미지가 안고의 작품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으리라.
사카구치 안고의 문장은 몹시 불편하다. 단어나 문구의 반복·중복이 많고, 불필요한 접속사도 많아 한 번 쓰고는 퇴고를 거치지 않은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들 정도로 문장이 다듬어지지 않은 느낌이다. 장황해서 내용 연결이 매끄럽지 않은 장문의 나열, 서두와 어말이 맞지 않는 문장도 수두룩하다 보니, 어떻게 하면 문맥이 통하는 내용으로 다듬을까 고민했고, 단문으로 잘라 번역하고 싶은 유혹도 자주 느꼈다. 작가의 의도를 살린다는 것의 한계가 어디까지인가 하는 의문이 몹시 자주 들었다. 그러나 요설체의 장황한 문장이 안고의 특징이자 무뢰파로서의 매력이라고 생각해 최대한 살리자고 마음먹었다. 다만 아무 부호도 없이 지문과 연결된 대화체 문장은 독자의 이해를 위해 따옴표를 넣었다.
이 책을 읽는 독자가 작가로서의 안고를 이해하고 그의 작품의 특색을 인상 깊게 뇌리에 남긴다면 번역자로서 더 이상 바랄 게 없다.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