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인 심청
평론가이자 시인으로 활동 중인 서울대 국문과 방민호 교수의 첫 장편소설. "이 소설의 시작점은 지금부터 15년 전쯤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작가는 심청전 경판본 24장본을 읽고 다른 판본들도 살펴봤다. "작고하신 성현경 선생의 글들도 읽었다. 채만식이 심청전을 심봉사로 세 번이나 다시 썼음도 알았다."
지금까지 우리가 기억하는 심청전의 주인공은 '효녀 심청'이었다. 하지만 심청을 단순히 효의 상징으로만 수 있을까. 이 오랜 의문에서 작가의 소설은 시작되었다. 작가는 심청전 여러 판본에서 "사랑하는 마음을 가리켜 저를 위하는 욕망에서 나오는 것이라 하지만 이는 사랑의 시작이요 끝"이 아니며, "험한 세상을 그나마 살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은 실은 사랑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는 것을 읽어냈고, 그 속에 깃든 심청의 사랑을 마음에 담았다.
그래서 누군가의 연인이자 딸이며, 사랑과 삶과 운명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연인 심청'을 구상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작가란 단순히 "황무지에 자기만의 꽃을 심는 존재"가 아니라 "길고 깊은 문학의 전통 속에서 나타나 그것에 한 줌 흙을 더하고 사라지는 존재"임을 "뒤늦게나마 깨달았고, 그것이 이 긴 여행의 출발점"이 되었다.
문학평론가, 시인. 1994년 창비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비평활동을 시작했고, 2001년 <옥탑방> 등의 시로 월간문예지 《현대시》의 신인추천작품상을 수상하며 시인으로도 활동하기 시작했다. 현재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서로 《일제 말기 한국문학의 담론과 텍스트》,《채만식과 조선적 근대문학의 구상》이 있고, 시집으로 《나는 당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가 있다. 평론집으로는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납함 아래의 침묵》, 《문명의 감각》, 《행인의 독법》, 《감각과 언어의 크레바스》 등이 있다. 또한 산문집으로 《명주》가 있다.
옛날 옛적에 고려시대에
추운 겨울날의 따사로운 그림동화
꿈에서 본 아버지는 어디서 만난 이일까?
돈으로 눈을 뜰 수 있으리라 믿다니
아비를 살리느냐 나를 살리느냐
돈에 팔리고 사랑에 울고
인당수 바다에 한 조각 넋이 되어
다 잃고도 남은 것은 있으니
눈 뜨는 게 먼저냐 애욕이 먼저냐
인당수 바다에 두둥실 뜬 꽃이여
몸은 병들고 사람은 떠나고
아무도 그 사연을 알 길 없으니
눈먼 아버지는 어디로 가셨나
사랑하는 이와 사랑해야 하는 이
살고 죽는 운명의 막은 오르고
가을 석양빛 속에 떠나보내다
작가의 말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