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람보
≪살람보≫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한 고대 문명, 카르타고에 관한 소설이다. 작품은 카르타고와 로마의 1차 포에니 전쟁 직후 카르타고를 위해 싸웠던 용병들이 일으킨 반란과 그 진압 과정을 배경으로 한다. 그리스, 로마 같은 고대 국가와 달리 국가의 방어를 용병 제도에 의존했던 카르타고는 전쟁에 패함으로써 로마에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하게 되어 국고가 바닥이 났고, 그로 인해 급료 지불이 어려워지자 용병들이 반발했던 것이다. 제목인 ‘살람보’는 카르타고 최고 집정관 하밀카르 버르카스의 딸 이름이다.
소설은 살람보가 탐닉했던 기이하고 신비스러운 종교, 그녀와 용병대장 마토의 사랑, 마토의 순정, 인간을 제물로 바치는 고대의 잔혹한 희생제의 등이 거칠고 피비린내 나는 전투와 전장을 배경으로 전개된다. 작가는 찬란하게 피었다가 소멸해 간 한 문명, 지나간 한 시대를 때로는 비장하게, 때로는 낭만적 열정으로 복원함으로써 서사에 서정적 색채를 더했다.
플로베르는 1857년 ≪살람보≫ 집필을 시작해 1862년에 발표했다. 그는 스물일곱 살이던 1849년 동방으로 여행을 떠나 1년 6개월간 이집트와 시리아, 팔레스타인 등지와 그리스, 이탈리아를 여행했는데, ≪살람보≫는 작가가 동방 여행 후 처음으로 쓴 동양에 관한 소설로 독서의 기억과 여행의 추억이 함께 서려 있는 작품이다. 플로베르는 이 소설을 위해 고대 역사를 공부하고 방대한 자료를 참고했으며 옛 카르타고의 흔적을 찾아 튀니지를 여행했다. 과거 역사에 대한 정밀한 자료와 객관적 사실을 바탕으로 하되 사료의 행간을 상상력으로 메워 나갔다.
귀스타브 플로베르 (Gustave Flaubert)
1821년 노르망디의 루앙에서 태어났다. 37세에 처음으로 출판한 ≪마담 보바리≫로 하루아침에 유명해졌지만 그 전에 오랜 습작기를 거쳤다. 주요 작품으로 ≪마담 보바리≫(1857) 외에 고대 카르타고를 배경으로 한 ≪살람보≫(1862), 1848년 2월 혁명 전후로 한 세대의 희망과 환멸을 그린 ≪감정 교육≫(1869), 3세기 알렉산드리아 사막에 은거했던 기독교 성자의 삶을 그린 ≪성 앙투안의 유혹≫(1874)은 30년 가까이 그를 매혹시켰던 것으로 세 판본이 있고, ≪세 단편≫(1877), 그리고 ‘인간의 어리석음에 관한 백과사전’을 의도했으나 끝내지 못한 마지막 소설 ≪부바르와 페퀴셰≫가 있다. 말년에 상당한 경제적 어려움을 겪다가 58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김계선
숙명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했다. 프랑스 파리4대학에서 플로베르를 연구해 〈플로베르와 공간〉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살람보의 현대성〉을 비롯해 플로베르의 작품에 관한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저서로 ≪프랑스 문화≫(공저)가 있고, 역서로 ≪부바르와 페퀴셰≫, ≪살람보≫, ≪성 앙투안의 유혹≫이 있다. 현재 숙명여자대학교 프랑스언어·문화학과에서 강의하고 있다.
1장 연회
2장 시카에서
3장 살람보
4장 카르타고의 성벽 아래에서
5장 타니트
6장 한노
7장 하밀카르 버르카스
8장 마카르 전투
9장 전장에서
10장 뱀
11장 텐트 안에서
12장 수도교
13장 몰록
14장 도끼 협곡
15장 마토
해설
지은이에 대해
지은이 연보
옮긴이에 대해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