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주론 (마카롱에디션)
『군주론』은 출간 당시 온 유럽을 충격에 빠뜨렸다. 절대 권력을 얻기 위한 무자비한 책략을 옹호하고 전통적인 도덕을 무시하였기 때문이다.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악마의 대리인으로 간주되었고, 그의 이름은 자코뱅파의 공포정치가를 지칭하는 ‘마케빌’로 쓰였다. 그러나 공화정치를 선호하고 인민의 충직함을 신뢰한 그가 남긴 이 군주 지침서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마키아벨리는 전제정치를 찬양했다기보다는 정치 생활과 정치적 판단의 복잡성과 유동성을 강조하면서 절대적으로 보편적인 규칙이나 특질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가르쳤다.
저자 : 니콜로 마키아벨리
저자 니콜로 마키아벨리는 1469년 5월 3일 이탈리아 중부의 도시국가 피렌체에서 베르나르도 디 니콜로 마키아벨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피렌체 공화국의 제2서기관직에 임명된 1498년까지 그의 생애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약관 29세의 나이로 중책을 맡은 그는 이후 외교와 국방을 담당하는 최고 행정관의 비서가 된다. 1500년 외교사절로서 프랑스의 루이 12세에게 파견되어 5개월간 머무르며 강력한 군주 아래 통일된 나라의 국력에 깊은 인상을 받는다. 또한 로마냐로 체사레 보르자에게 파견되기도 하였는데, 이때의 경험을 통해 그는 체사레 보르자를 통일 이탈리아를 이룩할 수 있는 새로운 군주의 모범으로 삼게 된다. 1503년에는 새로 선출된 교황 율리우스 2세를 수행하여 처음으로 정복 전쟁에 나서기도 했다. 그리고 1507년 말에는 신성로마제국 막시밀리안 황제에게 외교사절로 파견되어 독일을 시찰한 뒤 독일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 1509년 피렌체의 지배를 받던 피사가 반란을 일으키자 보병대를 지휘하여 피사를 함락했다.
3년 후인 1512년 피렌체 공화국은 신성동맹에 패하고,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를 되찾는다. 그 결과 그는 공직에서 물러나게 된다. 1513년 메디치 가문에 대한 음모의 혐의로 붙잡혀 투옥되고 고문을 당한다. 약 한 달 만에 석방된 그는 산 카시아노 근처의 농가에 은둔하여 아내와 여섯 아이들과 함께 살면서 연구와 저술에 몰두했다. 이때 『군주론』(1513)과 『로마사 논고』를 썼다. 『군주론』을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바치지만 관직에는 등용되지 못하였으며, 로렌초가 사망한 후 피렌체를 통치하게 된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에게 『전쟁의 기술』을 저술하여 바치지만 한직을 얻는 것에 만족해야 했다. 1520년 추기경이 그에게 피렌체의 역사를 저술하는 임무를 맡겼고, 그는 1525년에 이 일을 완수했다.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두 번째로 추방된 후 피렌체는 다시 공화국이 되었고, 마키아벨리는 과거 공화국 시절 자신이 가졌던 지위를 회복하리라는 기대를 품었으나 메디치 가문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철저하게 외면당했다. 그가 남긴 대표작으로는 『군주론』 외에도 『리비우스의 첫 10년간에 관한 담론』, 풍자 희극 『만드라골라』 등이 있다. 1527년에 사망했다.
1500년 당시의 이탈리아
서문
군주론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드리는 편지
1. 군주국의 다양한 종류와 그것이 획득되는 방식
2. 세습 군주국
3. 복합 군주국
4. 알렉산더에게 정복당한 다리우스 왕국은 왜 그가 죽은 후 그의 후계자들에게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5. 각자의 법 아래에서 살던 도시나 공국들은 정복한 후 어떻게 다스려야 하는가
6. 자신의 무력과 능력으로 얻은 신생 군주국
7. 타인의 무력과 운의 도움으로 얻은 신생 군주국
8. 악행으로 권력에 오르는 자들
9. 시민 군주국
10. 군주국의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11. 교권 군주국
12. 군사 조직과 용병
13. 원군, 혼성군, 자국군
14. 군주는 군을 어떻게 조직해야 하는가
15. 사람들이, 특히 군주가 칭찬받거나 비난받는 일들
16. 후함과 인색함
17. 잔인함과 자비함, 사랑을 받는 것이 두렵게 여겨지는 것보다 나은가 그 반대인가
18. 군주는 약속을 어떻게 지켜야 하는가
19. 경멸과 미움을 피할 필요
20. 요새, 그리고 군주들이 의지하는 오늘날의 다른 방편들은 유용한가
21. 명예를 얻기 위해 군주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
22. 군주의 개인적 막료
23.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24. 왜 이탈리아의 군주들은 그들의 국가를 잃었는가
25. 인간사는 얼마나 운에 지배되는가, 그리고 어떻게 운에 맞서야 하는가
26. 이탈리아를 야만인들로부터 해방하기 위한 간곡한 권고
옮긴이의 말
인명사전
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