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세계의 인간 운명
베르댜예프는 러시아에 수립된 공산주의 정권만이 아니라 이탈리아에서 새롭게 등장하고 있던 파시즘, 그리고 1930년대 초에 독일의 집권 세력이 된 국가사회주의를 주목하면서 자신의 역사철학적 관점을 더욱 발전시켜나갔다. 그 결과 베르댜예프의 역사철학을 담은 대표적인 저술인 『현대 세계의 인간 운명』이 1934년에 출간되었다. '자유의 포로'라는 별칭을 지닌 베르댜예프 사상의 핵심 개념은 '자유'와 '인격'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 책에서 이 두 개념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의 세계를 대상으로 한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조명되고 있다.
해설
지은이에 대해
제1장 역사에 대한 심판: 제1차 세계대전
제1절 현대의 문제
제2절 세계대전의 결과
제3절 위기의 근원
제2장 역사 속에서의 인간의 운명
제1절 휴머니즘과 짐승주의
제2절 비인간화와 자유의 모순
제3절 공산주의와 파시즘
제3장 세계 속의 새로운 세력들
제1절 대중의 등장
제2절 기술, 실업, 그리고 민족주의와 인종주의
제3절 국가주의와 카이사르주의, 동방의 민족들
제4장 문화와 기독교
제1절 귀족주의적 문화 원칙과 지식층의 운명
제2절 기독교에 대한 심판
제3절 새로운 영성에 대한 탐구
옮긴이에 대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