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근대한국학총서 L-029]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2 : 한성신보
한국의 근대신문은 근대문학의 변화를 이끌었고 오랜 기간 동안 그 변화의 중심에 서 있었다. 한국의 근대신문들은 새로운 방식의 기록과 복제 그리고 유통을 통해 한국인의 문학과 문화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 근대문학 연구에서 근대신문에 대한 연구가 중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이 책의 간행 목적은 한국 근대신문에 수록된 서사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통해 한국근대소설사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일에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의도를 살려 작업한 두 번째 연구 성과물이다. 첫 번째 성과물은 『한국의 근대신문과 근대소설 1 - 대한매일신보』였다. 『한성신보』는 일본인들이 국내에 들어와 발행한 신문이다. 이 점에서 『한성신보』는 『대한매일신보』등의 여타 근대계몽기 신문과는 그 성격이 크게 구별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성신보』가 한국 근대소설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라는 점만은 분명하다.
"1955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문학박사이자 문학평론가이다. 전북대 조교수와 미국 하버드대 옌칭연구소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연세대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8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당선되었으며, 1997년 <연세학술상>, 1998년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 을 수상하였다.
주요 저서로 『한국근대소설사』, 『한국문학비평논쟁사』, 『교열본 수주 변영로 시전집』, 『수주변영로 평전』, 『한국근대문학비평사연구』 (공저), 『문학이론연구』 (공저), 『한국근대문학비평사』 등이 있다."
책머리에 제1부 연구편 제1장 『한성신보』 연구의 의미 제2장 『한성신보』의 위상 제3장 『한성신보』 소재 서사문학 자료 연구사 제4장 『한성신보』의 서사물 수록 배경 제5장 『한성신보』 소재 서사문학 자료 연구 제6장 『한성신보』 소재 서사 자료의 특질과 의미 제2부 자료편 001. 拿破崙傳 _ 1895.11.7~1896.1.26. 雜報 002. 「閣龍(고렁부스)이 亞美利加에 發見한 記라」_ 1895.11.17~19. 雜報 003. 「비스마루구翁의 逸事라」_ 1895.11.21. 雜報 004. 「日本名士福富臨淵逸事」_ 1896.3.9~4.11. 雜報 005. 「趙婦人傳(조부인젼)」_ 1896.5.19~7.10. 雜報 006. 「種痘之祖先醫 찌옌나氏傳」_ 1896.6.6. 雜報 007. 「英國皇帝陛下御略傳」_ 1896.6.8~10. 雜報 008. 「申進士問答記」_ 1896.7.12~8.27. 雜報 009. 「紀文傳」_ 1896.8.29~9.4. 雜報 010. 「郭御史傳」_ 1896.9.6~10.28. 雜報 011. 「報恩以讐」_ 1896.9.12~16. 雜報 012. 「以智脫窮」_ 1896.9.18~26. 雜報 013. 「男蠢女傑」_ 1896.9.28~10.22. 雜報 014. 「夢遊歷代帝王宴」_ 1896.10.24~12.24. 雜報 015. 「李小姐傳」_ 1896.10.30~11.3. 雜報 016. 「醒世奇夢」_ 1896.11.6~18. 雜報 017. 「米國新大統領傳」_ 1896.11.14~18. 雜報 018. 「李正言傳」_ 1896.11.22~30. 雜報 019. 「奇緣中絶」_ 1896.11.30~12.2. 雜報 020. 「金氏傳」_ 1896.12.4~14. 雜報 021. 「蟾報飯德」_ 1896.12.12. 雜報 022. 「佳緣中斷」_ 1896.12.16~26. 雜報 023. 「李氏傳」_ 1896.12.28~1897.1.10. 雜報 024. 「寃魂報仇」_ 1896.12.28~1897.1.8. 雜報 025. 「孀婦寃死害貞男」_ 1897.1.12~16. 小說 026. 「邦伯優遊忘同忌」_ 1897.1.18. 小說 027. 「婢子貞節」_ 1897.1.20. 小說 028. 「無何翁問答」_ 1897.1.22~2.15 이후 미확인. 小說 029. 「海賊剿滅」_ 1902.9.7~26 030. 「木東崖傳」_ 연재 시작 날짜 불분명. 확인 가능한 날짜는 1902.12.7~1903.2.3 (미완) 小說 031. 「市井酬酌」_ 1902.12.12. 032. 「負薪談話」_ 1903.2.15. 033. 「乞客問答」_ 1903.4.18(미완) 034. 「夏夜誌怪」_ 不眠子 _ 1903.8.15~18. 寄書 035. 「一歌一哭」_ 1903.9.12. 036. 「路上聽聞」_ 1904.1.15. 雜報 037. 「落心萬千」_ 1904.2.7. 雜報 038. 「甲乙時論」_ 1904.8.21. 雜報 039. 「經國美談」_ 1904.10.4~11.2 (미완). 小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