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연극사: 가면극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1933) 판본 수록.
신라 시대의 가면무(假面舞) 등은 고려에 들어와서도 자주 연출되었으며, 그 대부분은 다시 조선조까지 전하여 내려왔다. 그러한 모든 무극(舞劇)이 제각기 전래한 반면에 고려에는 종전의 다종다양한 가면극이 집대성되어 일종의 완전한 가면극을 형성한 듯하니, 즉 산대극(山臺劇)이 그것이다. 산대극은 고려 말에 대두한 조선의 대표적 가면극이며 조선조에 와서는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으로서 방방곡곡에 왕성히 연출하게 되었다.(중략 ‘가면극’ 중에서>
■ 김재철(金在喆)(1907~1933) 호 노정(蘆汀)
학자
충북 괴산 출생
경성고등보, 경성제국대학 예과 수학
저서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 《노정잡고(蘆汀雜稿)》 등
서(序)
제1편 가면극
제1장 삼국 이전의 가면극
제2장 신라의 가면극
제1절 검무(劍舞)
제2절 오기(五伎)
제3절 처용무
제4절 무애무(無?舞)
제3장 고려·조선의 가면극
제1절 나례(儺禮)
제2절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
제4장 내용으로 본 산대극(山臺劇)
제1절 무당(巫堂)
제2절 산대극에 나타난 파계승(破戒僧)과 양반
제3절 배우의 생활 상태
제5장 산대극의 무대구조
제6장 산대극 가면의 구조
제7장 조선 가면극의 계통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