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연극사: 인형극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1933) 판본 수록.
꼭두각시극은 일명 박첨지극(朴僉知劇)이라고도 하나, 모두 인형극의 명칭에서 떼다 쓴 이름이다. 박(朴)은 ‘박’이며, 그 음이 박(瓠)과 똑같다. 대체로 ‘박’은 단순히 호류(瓠類)(조롱박 종류) 뿐만 아니라 함지박, 이남박과 같은 나무로 만든 박이라고 한다. 그러면 박첨지(朴僉知)의 박은 그 인형이 호류로 제작되고, 혹은 목편(木片)으로 바가지같이 깎아서 조작된 데서 생긴 명칭인 듯하다. 그것이 후대에 와서 우연히 박(瓠)의 음이 박(朴)과 같기 때문에 박(朴) 글자를 대입(代入)하고, 따라서 인형을 인격화하여 허름한 벼슬 첨지(僉知)를 붙여 박첨지(朴僉知)라고 한 것이다. 꼭두각시의 각시(閣氏)는 극의 역할상으로 보아 부녀(婦女)라고 해석함이 옳은 듯하다.(중략, ‘꼭두각시극’ 중에서>
■ 김재철(金在喆)(1907~1933) 호 노정(蘆汀)
학자
충북 괴산 출생
경성고등보, 경성제국대학 예과 수학
저서 《조선연극사(朝鮮演劇史)》 《노정잡고(蘆汀雜稿)》 등
서(序)
제1장 인형극의 어의와 발생
제2장 조선 인형극 개관
제1절 고대의 인형극
제2절 꼭두각시극
제3절 만석중놀이
제3장 내용으로 본 인형극
제1절 꼭두가시극 내용에 대하여
제2절 인형극에 미친 불교 영향
제3절 양반
제4절 처첩(妻妾)
제4장 조선 인형극의 계통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