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강좌를 위한 도서] 글쓰기
글쓰기란 동서양의 오랜 수사학적 전통 속에서 지식인의 필수 과목이었고, 대학생으로서 갖추어야 할 폭넓은 인문학적 교양과 전공학문 수행을 위한 기초 능력 함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과목임은 분명하다. 더구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최근 국내 주요 대학들이 글쓰기를 필수 과목으로 지정하고, 경쟁적으로 글쓰기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이 교재 역시 이러한 배경에서 준비되었다. 새로운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기존의 대학 작문과 차별화 되면서, 여러 대학의 글쓰기 관련 과목에 두루 쓰일 수 있고 동시에 말하기 과목과의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교재 개발이 필요했다. 더불어 사고의 기초와 같은 비판적 사고 교육이나 리더십 강좌, 컴퓨터와 프레젠테이션 교육 등과 적절한 연계성을 이룰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이 책이 지향하는 또 한 가지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제공이다. 학문 영역별 글쓰기 부분에서는 인문학적, 자연과학, 예체능 각 계열별로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을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머리말에서
연세대학교 국문과에서 박태원 단편소설 연구로 석사 학위를, 1960년대 서울에서의 일상성 경험과 자본주의적 근대성 탐구 및 감수성의 본질을 고찰하는 김승옥 소설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H-맥스’라는 벤처 기업에 몸담았던 경험은 인터넷 문학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일깨워주었다. 이후 연구 영역을 팩션이나 SF 소설 같은 대중 문학까지 꾸준히 확장하면서 문학과 영상, 문학과 종교에 관한 학제 간 연구에도 힘쓰고 있다. 현재 성신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현대 소설과 글쓰기를 강의하고 있으며, 저서로『한국소설과 근대적 일상의 경험』,『김승옥 문학의 감수성과 일상성』 등이 있다.
●개정판을 내면서 ●머리말 ●Ⅰ. 글쓰기 과정의 이해 1. 글쓰기의 전략 2. 글감과 구상 3. 글의 주제와 개요 작성 4. 바른 문장 쓰기 ●Ⅱ. 글쓰기의 기초 1. 묘사 2. 서사 3. 설명 4. 논증 ●Ⅲ. 글쓰기의 활용 1. 컴퓨터 글쓰기 2. 실용적 글쓰기 ●Ⅳ. 논문 작성법 1. 논문이란? 2. 논문의 종류 3. 논문 작성 절차 4. 논문의 형식 ●Ⅴ. 발표와 프레젠테이션 1. 발표와 발표문 쓰기 2. 발표와 프레젠테이션의 실제 ●부록 1 : 대학생이 틀리기 쉬운 표현 100가지 ●부록 2 : 실습 양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