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만호, 채근담을 노래하다] 추만호, 채근담을 노래하다 3 : 길의 노래
『채근담菜根譚』은 동양의 『탈무드』라 불릴 정도로 삶의 지혜와 자연의 소중함, 그리고 나의 허물을 되돌아보게 하는 멋진 名句들이 가득하다. 그런 연유로 400여 년 전 중국 명나라 때 문인 홍자성(1573~1619)이 지은 『채근담』은 한국에서도 독자 구미에 맞게 250종이 넘는 다양한 류의 『채근담』이 출간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이 책은 홍자성이 지은 『채근담』 전집 225장과 후집 134장의 총 359장으로 구성된 판본을 바탕을 바탕으로, 내용을 주제별로 나눠 새롭게 편집한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왼쪽에는 시와 토를 단 한자 원문原文을 싣고, 오른쪽에는 그 내용에 맞는 감상 글을 실어 『채근담』을 한껏 깊고 넓게 음미할 수 있게 하였다.
3권 「길의 노래」(73수)의 주제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고요함으로 생각을 맑게 하고, 한가함으로 조용히 하며, 맑음으로 뜻을 비우는 것이 마음 보아 깨우치는 세 개의 길이다. 잘 때와 깨어날 때 일심으로 빛을 되돌려라. 참된 고요함은 움직임 속에 있고 참된 즐거움은 괴로움 속에 있다. 탐진치貪瞋癡 삼독과 욕망에서 생각을 돌려 욕망으로부터 마음을 비우라. 모든 것은 절로 그러하다. 그냥 놓아 두어라. 툭 트여 걸림 없는 작은 하늘땅(소우주)인 나의 길을 가리라.
중국 명나라 신종(1573~1619) 때의 문인으로 이름은 응명(應明), 호는 환초도인(還初道人)이라 한다. 저서에《채근담》외에《선불기종》이 있다.
『채근담』은 (한글) 『채근담』은(Abstact) 여는 글 : 『채근담』은 본래의 나를 되돌아보아 찾게 해 길의 노래 맺는 글 : 세상으로부터 닦아서 도를 깨우쳐 절로 그러하다 『추만호, 채근담을 노래하다』 집필 일기 『추만호, 채근담을 노래하다』 감상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