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트슈타이너가 들려주는 혈액형 이야기 - 과학자들이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32
란트슈타이너는 1900년 ABO혈액형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았던 의학자입니다. 이 책은 란트슈타이너 박사님의 수업을 듣는 식으로 구성되어, 혈액형의 의미, 혈액의 구성 성분과 세포들, 그리고 혈액의 기능, 항원과 항체, 혈액은행 등 혈액에 관하여 학생들이 궁금해 하는 많은 것들을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접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읽는 학생들은 혈액과 관련한 생물 공부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중요한 요소인 혈액에 대하여 보다 많이 알게 됨으로써 우리 몸과 생명의 소중함을 새삼 깨달을 수 있을 것입니다.
첫 번째 수업_ 혈액형이 뭐지?
옛날 사람들은 피를 어떻게 다루었을까요? 혈액형에 대해 가장 궁금해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두 번째 수업_ 생명의 경이로움
막힌 데 없는 우주가 만들어 내는 조화로움은 우리 몸속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의 몸을 이루는 혈액세포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을까요?
세 번째 수업_ 1667년 파리에서
처음 시행되었던 수혈 치료는 어떤 방법을 썼을까요? 수혈 치료에 어떤 문제가 있었기에 란트슈타이너는 혈액 연구를 시작했을까요?
네 번째 수업_ 적혈구의 신기한 응집
혈액 속에는 다른 사람의 적혈구를 응집시키는 어떤 물질이 있는 것일까요? 어떤 사람에게 맞지 않는 혈액을 수혈하면 왜 부작용이 생길까요?
다섯 번째 수업_ 항원과 항체
우리 몸을 세균과 바이러스로부터 지켜 주는 면역 시스템은 무엇일까요? 수혈할 때 혈액형을 맞춘다. 는 말이 무슨 뜻일까?
여섯 번째 수업_ 혈액형의 정체
왜 장기이식을 할 때도 혈액형을 맞추어야 할까요? 우리의 피는 ABO 혈액형 외에 다른 혈액형도 있을까요?
일곱 번째 수업_ 수많은 혈액형들
현재까지 발견된 혈액형의 종류는 얼마나 될까요? 백혈구나 혈소판에도 혈액형이 있을까요?
여덟 번째 수업_ 혈액은행의 탄생
혈액을 응고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혈액 보관용 플라스틱 백은 언제 만들어졌나요?
아홉 번째 수업_ 헌혈을 생명을 살리는 아름다운 실천
우리나라에서는 언제부터 수혈이 시작되었을까요? 헌혈은 생명을 살리는 고귀한 일이며, 사랑을 베푸는 아름다운 실천입니다
열 번째 수업_ 혈액형에 대한 고민
부모님으로부터 받을 수 없는 혈액형이 나올 수도 있나요? 혈액형은 일생 동안 변하지 않을까요?
마지막 수업_ 아직도 풀리지 않는 혈액형의 비밀
사람들의 개성만큼이나 혈액형 역시 다양성 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