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딜레마 : 왜 창의적이 제품이 실패하는가?
창의성에 대해서 연구하면서 깨달은 것은 창의성은 모든 영역에 적용되는 광범위한 개념이 아니라, 어떤 특정 영역(domain)에 해당되는 특별한 개인성향이라는 것이었다. 새로운 AI(Artificial Intelligence)가 적용되어 주식가격을 예측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만드는 엔지니어들은 예술적 창의성이 없어도 과학적 창의성이 높은 것이고, 새로운 삼성의 폴더블 폰 같은 접히는 휴대폰이나 LG의 돌돌 마는 ‘롤러블 TV’를 심미적으로 아름답게 디자인하는 디자이너들은 과학적 창의성이 부족하여도 예술적 창의성이 높은 것이다. 그리고 나는 “창의성의 측면은 과학적인 것과 예술적인 것에 국한이 되어 있을까?”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고, 모든 창의성의 연구의 기초가 된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과 조직행동(organization behavior)에서 창의성의 다른 측면을 어떻게 구분하는가를 찾아 연구하였다. 놀랍게도 창의성의 측면은 여러 다른 각도에서 정의되고 측정이 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아이디어를 다양하게 내고 확산시켜 나가는 발산적인 창의성(divergent creativity)이 신제품 개발 초기인 발상(ideation) 단계에서 중요한 반면, 많은 제품의 아이디어 중에 가장 적합한 아이디어를 추려내는 수렴적인 창의성(convergent creativity)은 신제품 개발 후기의 실행(implementation) 단계에서 중요한 것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또한 획기적인 새로운 제품으로, 시장의 흐름을 뒤엎는 혁신적인 기술의 변화를 동반한 급진적인 창의성(radical creativity)이 세상을 바꾸기도 하지만, 기존에 있는 제품을 더 발전시켜서 더 효율적으로 작동하게 하는 점진적인(incremental creativity) 창의성이 회사의 지속가능성을 가져오는 것으로 구별되기도 한다. 저자는 유형 분류법(typology)을 통해서 창의성을 바라보는 다양한 서로 다른 측면을 해당 영역에 특화되어 구분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만, 그러한 창의성의 다른 측면을 찾기 이전에 훨씬 더 근본적인 질문인 “과연 창의성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지게 되었다. 그 당시 지도교수 중의 한 명인 게리 암스트롱 교수가 창의성의 정확한 정의를 가져오지 못하면 이 주제로는 논문을 쓸 수 없다는 엄포를 놓아 거의 두 달을 창의성의 정의를 찾으려 사방팔방을 헤집고 다녔던 기억이 난다.
● 들어가는 글: 우리는 창의성 딜레마에서 무엇을 배울까?
● 제1장 창의성 딜레마
§ 01. 창의성이란?
1. 창의성의 광의적, 협의적 정의: 창조성, 혁신성
2. 창의성의 2가지 하부차원(Sub-Dimension) 구성요소: 독창성(Novelty)과 의미성(Meaningfulness)
3. 창의성의 4가지 측면: Personality, Process, Environment, Outcome
4. 창의성 이론의 정리
§ 02. 창의성 딜레마
1. 창의성의 딜레마란?
2. 창의성 딜레마와 혁신가의 딜레마:
3. 창의성 딜레마의 핵심 질문: 과연 창의성이 회사의 성공을 가져올 수 있을까? 왜 창의적인 제품은 실패하는가? - 새한 미디어 케이스에서의 레슨
4. 창의성 딜레마의 이해: 매직박스인 독창성과 다다익선인 의미성
5. 창의성의 장기적인 효과를 통한 창의성 딜레마의 해결책: 어떻게 창의성의 딜레마를 극복할 것인가? 매직박스인 독창성은 창의성의 미운 오리새끼인가?
● 제2장 창의성 딜레마(Creativity Dilemma): 왜 창의적인 제품이 실패하는가?
§ 01. 새한미디어는 실패하고, 애플은 성공한 이유
1. 들어가는 글
2.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새한 미디어의 실패와 퀵 팔로어(quick follower) 애플의 성공사례
3. 창의성 딜레마
4. 창의성 딜레마에서 무엇을 배울까?
§ 02. 첨단 기술 산업에서의 시장지향성과 창의성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1. 연구동기
2. 이론적 프레임워크
3. 연구 모델의 제안과 연구 가설의 개발
● 제3장 단순함으로 승부하라. 실패하는 시장 개척자 vs 성공하는 시장 모방자
§ 01. 전기차의 성공, 구호 요란한 테슬라 vs 니즈 파악한 닛산(DBR): 왜 닛산이 초기에 더 성공하였는가?
1. 시장 개척자와 시장 모방자, 누가 더 성공할 가능성이 높을까?
§ 02. 미세먼지, 전기차에서 답을 찾자: 중국에서 성공한 전기 자동차
● 제4장 혁신팀에서의 창의성
§ 01. 신제품 혁신팀에서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및 후속결과
1. 이론적 배경 및 모델 개발
2. 연구모델
● 제5장 창의성 딜레마: 독창성은 매직박스인가?
§ 01. 신제품 창의성의 선행 조건과 및 결과: 한국, 일본, 중국회사를 중심으로
1. 이론적 배경과 프레임워크
2. 연구 가설
● 제6장 개인적인 창의성을 발현하는 혁신성: 과연 혁신성이 높은 높은 소비자가 혁신제품을 더 많이, 더 빠르게 구매하는가? 내재적 혁신성향이 혁신적 구매에 미치는 영향
§ 01.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향과 개인 특성이 신제품 채택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1. 이론적 프레임워크
2. 이론적 시사점
§ 02. 소비자의 내재적 혁신성향은 신제품 및 서비스 채택 행동과 연관되는가? 간접적 혁신성(대리 혁신성)을 통한 사회적 학습의 매개효과
1. 이론적 배경
2. 연구 가설 설정
● 제7장 창조성과 신제품팀의 지식관리
§ 01. 하이테크 기업에서 지식의 유형과 전략 지향성이 신제품 창의성과 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1. 이론적 프레임워크와 연구 가설
§ 02. 신제품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기능 융합의 촉진: 집단 효율성 이론의 관점에서
1. 개념적 연구모델
2. 연구 가설
§ 03. B2B 하이테크 기업의 지식관리 역량은 신제품 우위를 위해 어떻게 지식자원과 전략적 방향을 돕는가
1. 이론적 배경과 개념틀
2. 신제품 지식관리 역량의 선행요소
● 제8장 창의성과 신제품 개발에 관한 미래의 연구 방향
§ 01. 제품 창의성과 쿨함(Coolness)이 소비자의 인지가치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1. 이론적 배경: 신제품 창의성과 제품 평가에 대한 소비자의 인지
2. 가설 도출
§ 02. 경쟁 우위에 대한 채널 혁신 지식경영의 효과
1. 이론적 배경
2. 이론과 가설
§ 03. 마케팅 분야의 신제품 개발과 혁신관리에 대한 국내 연구성과 검토와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
§ 가. 연구 영역에 따른 분류
1. 소비자 행동에 관한 논문
2. 기업전략에 관한 논문
3. 인사조직에 관한 논문
§ 나. 학술지에 따른 분류
1. Asia Marketing Journal
2. 마케팅 연구
3. 소비자학 연구
4. 광고학 연구
5. 경영학 연구
§ 다. 현재 연구들의 종합적 시사점과 한계성, 미래연구의 방향성
1. 종합적 시사점과 미래 연구의 방향성
2. 미래연구의 방향성
● 나가는 글
이 책을 대출한 회원이 함께 대출한 컨텐츠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