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학비평총서] 중국문학이론 비평사 | 위 진남북조 편
위진남북조 시대의 문학에 대해 살펴본 『중국문학이론비평사』. 제1장 서론부분에서는 위진 남북조 시기의 사상, 문학 및 문학이론비평의 전반적인 상황을 설명하였고, 이 시기에 이루어진 새로운 문학개념들을 언급하였다. 2장에서는 문학 담론을 통해 위진남북조 시기의 다양한 문학비평관을 엿볼 수 있도록 하였고, 3장에서는 유협의 『문심조룡』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분석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종영 및 남북조 시기의 기타 비평이론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1927년 중국 하남성 민지현 출생. 본명 侯敏澤(후민택)
중국사회과학원 『文學評論』잡지 주간
중국 사회과학원 부속대학원 · 중국 남경사범대학 중국 사천사범대학교 교수 역임 · 현재 중국사회과학원 연구원
중국의 저명한 문학이론가이자 미학가
저서로는 『中國文學理論批評史』 『中國美學思想史』 『文學價値論』 『李摯』 등이 있다. 특히 『中國美學思想史』는 중국우수학술논저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일본어로 번역중이다.
학술논문집으로는 「形象 · 意象 · 情感」 외 다수가 있으며 「學悔鉤沈」叢書의 편집을 주관하였다. 그의 저서는 국내외 학술계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쳤으며 현재는 「中國文學思想史」를 집필중에 있다."
●한국어판서문 ●역자서문 ●1. 서론 제1절 위진남북조시기의 사상ㆍ문학 및 문학이론비평개황 제2절 문학이론비평 속에 생성된 신개념(상) 제3절 문학이론비평 속에 생성된 신개념(하) 제4절 문학특징에 대한 위진남북조시기의 인식 ●2. 조비ㆍ육기ㆍ갈홍과 지우 등의 문학비평 제1절 조비와 조식 제2절 육기의 문부 제3절 갈홍과 지우 ●3. 유협 제1절 유협과 문심조룡 제2절 예술과 자연 그리고 시대와의 관계 제3절 상상, 정감, 정물의 관계 제4절 풍골론의 형성과 내용 제5절 유협의 비평론 ●4. 종영 및 남북조시기의 기타 문학이론 비평 제1절 종영의『시품』 제2절 심약ㆍ배자야ㆍ소통ㆍ안지추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