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을 기초로 한 운동처방
운동과 신체활동은 대부분의 사람들 삶의 일부이다. 사람들은 잠에서 깨어나고, 걷고, 직장에서나 학교에서 계단을 오르고, 버스나 기차를 타기 위해 달리고, 스포츠에 참여할 때면 더욱 활동적인 신체활동을 하게 된다. 사람들은 아동기부터 조직적인 신체활동이나 운동에 참여하도록 지도되어 왔고, 운동과 관련된 활동들을 어떻게 즐기는지를 배웠다. 운동은 스포츠 참여의 역동적인 부분이며, 조직화된 스포츠를 수행하거나 또는 여가적인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신체를 단련하고 신체활동 시 요구되는 것들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계화된 방법으로 운동을 한다.
현재 의학과 관련된 연구에서는 운동이 여가뿐만 아니라 인간의 정신과 신체 건강, 웰빙에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 질병 예방을 위한 운동의 중요성은 운동과 관련된 지식과 장비들을 사회에 제공하는 다양한 산업을 부추겨왔다. 현재 건강에 관심 있는 일반 소비자들은 운동이 신체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를 더 알아야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막연하게 땀 흘려 운동만 하면 건강이 좋아진다고 믿고 있다. 그러나 좋은 약도 잘못 사용하면 해로울 수 있는 것처럼 운동도 바르게 실시하지 못하면 운동의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과학적 이론이 뒷받침된 운동처방이 필요한 것이다. 운동처방이란 개개인의 신체적 특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다.
- 책 뒤표지에서
"경희대학교 체육학 학사
경희대학교 체육학 석사
일본 국립히로시마대학교 교육학 박사
성신여자대학교 체육학과 교수
성신여자대학교 가족건강복지센터 운동처방실장
Asian Society for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ASAPE 상임 편집위원
- 주요저서 -
비만과 스포츠 영양(성신여대 출판부, 2003)
운동생리학을 기초로 한 운동처방(성신여대 출판부, 2006)
건강 · 스포츠 과학(정담미디어, 2007)
"
1. 운동생리학과 운동처방 2. 운동과 신체기능 3. 활성산소와 건강 4. 유산소 능력 5. 무산소 능력 6. 연령과 스포츠 7. 질병과 운동 8. 생활습관병 예방과 운동ㆍ스포츠 9. 운동부하 검사 10. 운동처방의 작성과 운동실천 11. 트레이닝 진행방법 12. 근력 트레이닝으로 중ㆍ고년의 생활습관병을 예방하자 13. 헤비핸드ㆍ운동(체조)으로 근력 향상